목차
머리말
제1장 노년담론의 문학적 성찰
노년담론의 소설적 형상화 / 송명희 - 박완서의「마른 꽃」을 중심으로
Ⅰ. 노년에 대한 새로운 가치의 정립이 필요하다
Ⅱ. 타자화되어가는 노년
Ⅲ. 결론
김훈 소설에 나타난 몸담론 / 송명희 - 「화장」을 중심으로
Ⅰ. 서론- 포스트모더니즘과 몸담론
Ⅱ. 「화장」에 나타난 몸담론
Ⅲ. 결론
주류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의 정체성 찾기 / 송명희 - 이창래의 「제스처 라이프」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페르조나로서의 삶에 대한 회의
Ⅲ. 아니마로서의 여성 - 메리 번즈, 서니, 그리고 K(끝애)
Ⅳ. 주류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의 정체성 찾기
Ⅴ. 결론
제2장 노녀담론의 사회인문학적 성찰
노인 어휘망에 나타난 '늙음'의 의미분석에 따른 새로운 노년인식 / 채영희
Ⅰ. 머리말
Ⅱ. 말뭉치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대한 수식어 양상
Ⅲ. 우리말과 외국의 노인 호칭어를 통해 본 노년인식
Ⅳ. '늙음'과 '낡음'의 관계
Ⅴ. 노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
의료와 미디어 산업의 노년담론 비판 / 한혜경 - 젊음의 연장이 아닌 노년의 복원
Ⅰ. 문제 제기
Ⅱ. 의료 산업의 관리대상으로서 노년
Ⅲ. 미디어 세계 속의 노년
Ⅳ. 결론 : 주체적 삶의 과정으로서 노년의 재구성
제3장 노년담론의 역사·철학적 성찰
노인, 인류의 진화를 인도하다 / 강인욱
Ⅰ.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Ⅱ. 유인원에게 노인이란 의미는?
Ⅲ. 두 발로 걷는 업보
Ⅳ. 고려장, 그 검증되지 않은 신화
Ⅴ. 늙은 말에 길을 물어라
『대학공의(大學公議)』를 통한 본 다산 정약용의 노년담론 / 신명호
Ⅰ. 머리말
Ⅱ. 고려말『대학장구』의 수용과 노년담론
Ⅲ. 다산의 『대학공의』저술과 노년담론
인간 도리의 근원, 공자의 효사상 장세호
Ⅰ. 서언
Ⅱ. 종법
Ⅲ. 인학(仁學)
Ⅳ. 효
Ⅴ. 결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