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논어』가 식탁에 오르기까지
『논어』를 읽기 전에 공자의 『논어』, 왜 고전인가
1. 학이편(學而篇)
너무도 당연한 가르침, 예(禮)
배움을 청하는 귀한 손님, 붕(朋)
각양각색, 군자(君子)의 의미
공자의 ‘인(仁)’이 가리키는 숨은 뜻
영주제의 기반, 효제(孝悌) 사상
의문에 싸인 “현현이색(賢賢易色)”의 의미
법(法)보다 효(孝), 가부장제 확립의 의지
동전의 양면, 예(禮)와 화(和)
‘절차탁마(切磋琢磨)’의 진정한 뜻
2. 위정편(爲政篇)
북극성, 덕망 있는 군주의 상징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힘을 아는 분투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아는 앎
3. 팔일편(八佾篇)
군주 없는 중원을 근심하다
태산의 제례는 가볍지 않다
천하가 놓인 손바닥의 암시
왕손가의 속담을 물리친 공자
예를 물을 줄 아는 예
“사부주피(射不主皮)”의 뜻
인신공양을 요구하는 무서운 토지신, 사(社)
4. 이인편(里仁篇)
인심 좋은 마을을 택하는 지혜
춘추시대 관용적 표현의 한 단면
백성을 떠나게 하는 정치
모호한 소인(小人)의 의미
부모의 곁을 지키는 도리
5. 공야장편(公冶長篇)
딸과 질녀, 서로 다른 사위의 조건
“모른다”는 말의 속뜻
공자의 총애를 나타내는 “무소취재(無所取材)”
공자의 제자 추천 전략
잠이 오면 잠을 자는 재여
내가 남이 될 수 있는가?
『논어』에 쓰인 성(性)의 뜻
자로의 걱정
공자의 맞춤형 교육
공자가 본 백이와 숙제
미생고(尾生高)의 ‘직(直)’에 대한 새로운 해석
6. 옹야편(雍也篇)
안회의 불천노(不遷怒)
출신과 배경을 초월한 염옹
공자의 제자 사랑
송조의 아름다움이 불행을 가져온다?
아는 것, 좋아하는 것, 즐기는 것
인자(仁者)의 수명
노나라에 개혁이 이루어지면?
명실상부(名實相符)의 중요성
7. 술이편(述而篇)
“술이부작(述而不作)”, 공자의 신념
계발(啓發)의 주체는 누구인가?
제자를 훈도하는 공자의 독특한 방식
자공의 유도심문
『역경』은 언제 유가의 경전이 되었을까?
교양 있는 춘추시대 사람들이 두루 쓰던 말
공자에게 스승이 있었을까?
자로의 꼼수
8. 태백편(泰伯篇)
천하를 양보한 태백(泰伯)
악(樂), 인격의 최종 단계
공자는 왜 우임금에 대한 평가에 소극적이었을까?
9. 자한편(子罕篇)
공자가 이(利)를 말하는 방식
공자가 마부를 택한 이유
공자의 호언장담
유가와 장례식
‘묘(苗)’와 ‘수(秀)’와 ‘실(實)’의 관계
겨울이 되어야 알 수 있는 것
근심은 어디서 오는가?
그리운 그대는 멀리 있지 않다
10. 향당편(鄕黨篇)
공자가 식사 때 침묵한 이유
자리에 앉을 때의 법도
사람과 말에 대한 공자의 태도
불사가행(不俟駕行), 신속히 부름에 응하다
공자의 암시적 교육 방법
11. 선진편(先進篇)
‘불급문(不及門)’에 대한 해석
공자의 안회(顔回) 사랑
질녀의 배우자감, 남용(南容)
공자는 왜 안회를 자식처럼 대하지 못했다고 했을까?
공자에게 ‘섬김’이란 무슨 의미였을까?
자로를 위한 공자의 변명
공자는 왜 증삼을 아둔하다고 했을까?
공자의 제자 배려
공자가 “말 잘하는 사람이 싫다”고 말한 이유
12. 안연편(顔淵篇)
공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에 숨은 뜻
신뢰, 국가 존립의 근거
자로의 결단과 실천
13. 자로편(子路篇)
인재를 알아보는 눈
위정자는 다만 덕을 쌓을 뿐
교육, 사회의 초석
도둑질을 한 아비도 아비다
14. 헌문편(憲問篇)
덕 (德)의 함의
어떤 사람이 결국 천하를 얻었을까?
신중을 기한 외교문서 작성
가신의 그릇과 대부의 그릇
대부 장손흘의 요구는 정당한 것인가?
관중에 대한 공자의 평가
명분을 위한 청
신뢰하되, 맹신은 말라
천리마의 덕(德)은 혈통에서 오지 않는다
『논어』에 엿보이는 도가사상
뜻이 좌절된 공자의 탄식
깊은 강을 건널 때는 옷을 벗고
15. 위영공편(衛靈公篇)
전쟁을 묻는 위나라를 떠나다
하나의 참된 이치로 세상을 꿰뚫다, 일이관지(一以貫之)
‘유(由)’와 ‘유야(由也)’의 차이
시대와 함께 성장한 『논어』
실인(失人)도 말고 실언(失言)도 말라
후세에 부끄럼 없는 삶
군이부당(群而不黨), 어우러지되 엉기지 않는다
평생을 두고 남의 입장을 헤아리다
배움과 사색
모두에게 열린 가르침
16. 계씨편(季氏篇)
공자가 본 천하의 흥망성쇠
물러날 때를 모르는 노욕
17. 양화편(陽貨篇)
‘흥(興), 관(觀), 군(群), 원(怨)’에 대한 풀이
『시경』의 효용
예(禮)와 악(樂)의 본질
옛사람을 거론해 현시대를 비판하다
가르침을 거절하는 가르침
청개구리 제자, 재아
공자가 칭한 ‘여자(女子)’와 ‘소인(小人)’의 뜻
18. 미자편(微子篇)
공자의 출사(出仕)와 대우
19. 자장편(子張篇)
자하와 자장의 견해는 과연 달랐는가?
규범에 대한 집착을 경계하다
격식과 근본
학문은 출사(出仕)의 유력한 무기
자장에 대한 증자의 평가
겉잡을 수 없는 악평의 파급효과
20. 요왈편(堯曰篇)
가족 후기 『논어』 공부를 마치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