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판적 위기학의 정치와 정치적 이론 = Politics and political theory of critical theory of crisis : Rousseau and Marx
발행연도 - 2012 / 지은이: 서규환 / 다인아트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참고/연속간행물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46641
-
ISBN
9788989014171
-
형태
481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책소개
현대정치철학의 핵심개념인 비판과 위기의 관계를 사상사의 맥락에서 재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루소와 마르크스의 저작들을 비교, 해석하여 간접적·개방적 총체성의 이론을 정초지워 현대철학의 위기에 대응할 대안으로 제시한다.
목차
책을 내면서
서문
제1장 문제의 제기
제1절 언어중심주의 혐의에 대한 비판
제2절 노동중심주의 혐의에 대한 비판
제2장 위기와 비판의 맥락들과 “정치”
제1절 비판의 위기와 위기의 비판
제2절 이데올로기와 진리
1. 만하임의 지식사회학과 루만의 기능주의
2. 알튀세르의 구조주의
3. (신)실증주의
4. 루소와 마르크스
제3절 변증법적 자기 지양 대 사회과학의 “사멸”
제3장 부정성과 총체성
제1절 총체성파악의 유형
제2절 초기낭만주의적 “시적”총체성
1. 현대적 위기의 미학적 비판
2. 역사적 불연속성과 시적 혁명
3. 진정한 낭만주의적 시대의 성립
4. 상상력과 파편적 총체성
제3절 재구성적 개방성과 탈구성적 개방성
1. 정치와 언어
2. “인간”이라는 언어의 계보학
3. 사회적 은유와 개방적 총체성
4. 정치적 언어와 욕구의 구조
5. 정치성의 급진화와 인민의 소리
제4절 헤겔의 변증법과 마르크스의 전도
1. 시작의 재구성과 변증법적 총체성
2. 형식과 내용으로서의 민주주의
3. 직접성의 끝과 매개의 시작
4. 급진적 차이들과 정치적 인식론
5. 인민과 이성
제4장 국가의미론의 재구성과 정당화
제1절 국가의미론의 유형과 정당화
제2절 폐쇄적 질서 속에서 기계론적 국가론과 유기체적 국가론의 패러다임적 국별
1. 기계론적 국가론
2. 유기체론적 국가론
제3절 초기낭만주의의 “시적 국가”
1. “시적 국가”와 고독한 나
2. 익숙한 것과 익숙하지 않은 것
제4절 변증법적ㆍ실용론적 국가이론
1. 정치의 우선
1) 정치와 도덕
2) 정치와 경제
2. 루소
1) 국가와 혁명
2) 루소의 정치적 의미론에서 국가의 죽음
3) 국가와 사회 사이의 긴장
4) 입법자의 진리
(1) 위험한 입법자
(2) 시간성이론에서 지속
(3) 정치적 진리의 생산, 매개, 그리고 수용
(4) 집합적 가설과 미덕
3. 마르크스
1) 정치로서의 혁명
2) 마르크스의 정치와 사회적 혁명
3) 마르크스의 정치적 의미론에서의 국가의 지양
4) 마르크스와 국가와 사회의 분리의 문제틀
5) 오래된 폐쇄성과 새로운 폐쇄성
제5장 결론
제1절 포스트자본주의적 사회에로의 이행이론의 재구성
제2절 마르크스의 루소와 루소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