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1부 글자와 표기법
1.1.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1.1.1. 제자의 일반 원리
1.1.2. 초성 글자의 제자 원리
1.1.3. 중성 글자의 제자 원리
1.1.4. 글자의 운용법
1.2. 글자의 소리
1.2.1. 초성과 종성 글자의 소리
1.2.1.1. 초성과 종성 글자의 소리 체계
1.2.1.2. 초성 글자의 소리
1.2.1.3. 종성 글자의 소리
1.2.2. 중성 글자의 소리
1.2.2.1. 중성 글자의 소리 체계
1.2.2.2. 중성 글자의 소리
1.3. 표기법
1.3.1. 종성의 표기
1.3.2. 사잇소리의 표기
1.3.3. 한자어의 표기
1.3.4. 붙여쓰기

제2부 단어
2.1. 형태소와 단어
2.1.1. 형태소
2.1.1.1. 형태소의 개념
2.1.1.2. 형태소의 종류
2.1.2. 단어
2.2. 품사
2.2.1. 품사의 분류 기준
2.2.2. 체언
2.2.2.1. 명사
2.2.2.2. 대명사
2.2.2.3. 수사
2.2.3. 관계언
2.2.3.1. 격조사
2.2.3.2. 접속 조사
2.2.3.3. 보조사
2.2.3.4. 조사의 생략과 겹침
2.2.4. 용언
2.2.4.1. 용언의 개념
2.2.4.2. 용언의 종류
2.2.4.3. 활용
2.2.5. 수식언과 독립언
2.2.5.1. 관형사
2.2.5.2. 부사
2.2.5.3. 독립언
2.3. 단어의 형성
2.3.1. 단어의 짜임새
2.3.2. 합성법
2.3.2.1. 어근의 결합 방식에 따른 합성법의 유형
2.3.2.2. 합성어의 품사에 따른 합성법의 유형
2.3.3. 파생법
2.3.3.1. 어휘적 접사와 통사적 접사
2.3.3.2. 접두 파생법
2.3.3.3. 접미 파생법
2.3.4. 단어 형성법의 음운 변동
2.3.4.1. 합성법의 음운 변동
2.3.4.2. 파생법의 음운 변동

제3부 문장
3.1. 문장 성분
3.1.1. 문장 성분의 개념
3.1.2. 문장 성분의 유형
3.1.2.1. 서술어
3.1.2.2. 주어
3.1.2.3. 목적어
3.1.2.4. 보어
3.1.2.5. 관형어
3.1.2.6. 부사어
3.1.2.7. 독립어
3.2. 문장의 짜임
3.2.1. 안은 문장
3.2.1.1. 명사절을 안은 문장
3.2.1.2. 관형절을 안은 문장
3.2.1.3. 부사절을 안은 문장
3.2.1.4. 서술절을 안은 문장
3.2.1.5. 인용절을 안은 문장
3.2.2. 이어진 문장
3.2.2.1.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3.2.2.2.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3.2.2.3. 이어진 문장의 통사적 제약
3.3. 문법 요소
3.3.1. 종결 표현
3.3.1.1. 평서문
3.3.1.2. 의문문
3.3.1.3. 명령문
3.3.1.4. 청유문
3.3.1.5. 감탄문
3.3.2. 높임 표현
3.3.2.1. 높임 표현의 개념
3.3.2.2. 상대 높임법
3.3.2.3. 주체 높임법
3.3.2.4. 객체 높임법
3.3.2.5. 높임법의 겹침
3.3.2.6. 어휘, 조사, 접사를 통한 높임 표현
3.3.3. 시간 표현
3.3.3.1. 시제의 개념
3.3.3.2. 과거 시제
3.3.3.3. 현재 시제
3.3.3.4. 미래 시제
3.3.3.5. 동작상
3.3.4. 태도 표현
3.3.4.1. 주관적 믿음 표현
3.3.4.2. 객관적 믿음 표현
3.3.4.3. 느낌 표현
3.3.5. 인칭 표현과 대상 표현
3.3.5.1. 인칭 표현
3.3.5.2. 대상 표현
3.3.6. 피동 표현
3.3.6.1. 피동 표현의 개념
3.3.6.2. 피동문의 유형
3.3.7. 사동 표현
3.3.7.1. 사동 표현의 개념
3.3.7.2. 사동문의 유형
3.3.8. 부정 표현
3.3.8.1. 부정 표현의 개념
3.3.8.2. 부정문의 유형

〔부록〕15세기 국어의 변동ㆍ연결 어미 목록ㆍ조선 초기 한글 문헌
[부록 1] 15세기 국어의 변동 현상
1.1. 체언과 조사의 변동
1.1.1. 체언의 변동
1.1.1.1. 음소의 교체
1.1.1.2. 음소의 탈락과 첨가
1.1.1.3. 체언의 성조 바뀜
1.1.2. 조사의 변동
1.1.2.1. 격조사의 변동
1.1.2.2. 보조사의 변동
1.1.2.3. 조사의 첫소리 /ㄱ/의 탈락
1.2. 용언의 변동
1.2.1. 어간의 끝 소리가 다른 소리로 바뀜
1.2.1.1. 어간의 끝 자음이 다른 자음으로 바뀜
1.2.1.2. 어간의 끝 모음이 다른 모음으로 바뀜
1.2.2. 어간의 끝 소리가 탈락됨
1.2.2.1. 어간 끝 음절의 받침소리가 탈락됨
1.2.2.2. 어간 끝 음절의 모음이 탈락됨
1.2.2.3. 특수한 변동
[부록 2] 15세기 국어의 연결 어미 목록
2.1. 대등적 연결 어미
2.2. 종속적 연결 어미
2.3. 보조적 연결 어미
[부록 3] 조선 초기의 한글 문헌 일람표

참고 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생활 속 글쓰기의 어문 규범 생활 속 글쓰기의 어문 규범 2012 / 저자: 김진호 ; 정영벽 / 박이정
국어 종결어미의 문법 국어 종결어미의 문법 2002 / 김태엽 저 / 국학자료원
국어 종결어미의 문법 국어 종결어미의 문법 2002 / 김태엽 저 / 국학자료원
(청소년 문해력을 위한) 현대문법 어문규정: 글을 이해하고 쓸 수 있는 능력: [청소년] (청소년 문해력을 위한) 현대문법 어문규정: 글을 이해하고 쓸 수 있는 능력: [청소년] 2023 / 편저: 김흥중 / 공감의 힘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 이론편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 이론편 2009 / 나찬연 지음 / 교학연구사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강독편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강독편 2009 / 나찬연 / 교학연구사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 주해편  : 주해편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 주해편 : 주해편 2009 / 나찬연 ; 권영환 ; 김문기 ; 오효순 / 교학연구사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 이론편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 이론편 2014 / 지은이: 나찬연 / 교학연구사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09 / 나찬연 지음 / 월인
학교 문법의 이해. 1, 음운,형태,통사,의미,화용 학교 문법의 이해. 1, 음운,형태,통사,의미,화용 2018 / 지음: 나찬연 / 경진출판
학교 문법의 이해. 2, 차자표기,중세국어,근대국어,어문규정 학교 문법의 이해. 2, 차자표기,중세국어,근대국어,어문규정 2018 / 지음: 나찬연 / 경진출판
현대 국어 문법 현대 국어 문법 2023 / 지음: 나찬연 / 경진출판
麗末鮮初 音讀 입겿(口訣)의 綜合的 考察 麗末鮮初 音讀 입겿(口訣)의 綜合的 考察 2005 / 南京蘭 저 / 경인문화사
(현대국어)통사론 (현대국어)통사론 2002 / 남기심 지음 / 태학사
표준국어문법론 표준국어문법론 2011 / 남기심 ; 고영근 공저 / 탑 출판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난쟁이 피터 난쟁이 피터 2014 / 호아킴 데 포사다 ; 데이비드 림 [공]지음 / 마시멜로
화법교육론 :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한 화법교육론 :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한 2010 / 이창덕 ; 임칠성 ; 심영택 ; 원진숙 ; 박재현 [공]지음 / 역락
용비어천가의 성립과 수용 용비어천가의 성립과 수용 2013 / 김승우 지음 / 보고사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2012 / 지음: 국립국어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지식의 탄생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10인과의 인터뷰 지식의 탄생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10인과의 인터뷰 2012 / 카렌 호른 지음 ; 안기순 ; 김미란 ; 최다인 공역 / 와이즈베리
중세어 자료 강해 중세어 자료 강해 2009 / 고영근 ; 남기심 공편 / 집문당
한국어 문법사 한국어 문법사 2002 / 권재일 저 / 박이정
국어 음운론 강의 국어 음운론 강의 2005 / 이진호 지음 / 삼경문화사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2010 / 저자: 고영근 / 집문당
한국어 문법 총론. 1, 개관, 음운, 형태, 통사 한국어 문법 총론. 1, 개관, 음운, 형태, 통사 2015 / 공저: 구본관 ; 박재연 ; 이선웅 ; 이진호 ; 황선엽 / 집문당
우리말 문법론 우리말 문법론 2018 / 지음: 고영근 ; 구본관 / 집문당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강독편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강독편 2009 / 나찬연 / 교학연구사
관형격조사 '의'의 통어적 의미 분석 관형격조사 '의'의 통어적 의미 분석 2007 / 김승곤 저 / 경진문화사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09 / 나찬연 지음 / 월인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말과 글을 살리는)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말과 글을 살리는)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2016 / 지음: 정재윤 / 시대의창
(영어학자의 눈에 비친) 두 얼굴의 한국어 존대법 = Double-faced Korean honorification (영어학자의 눈에 비친) 두 얼굴의 한국어 존대법 = Double-faced Korean honorification 2020 / 지음: 김미경 / 소명출판
동사의 맛 : 교정의 숙수가 알뜰살뜰 차려 낸 우리말 움직씨 밥상 동사의 맛 : 교정의 숙수가 알뜰살뜰 차려 낸 우리말 움직씨 밥상 2016 / 지음: 김정선 / 유유
(글쓰기를 위한)4천만의 국어책 (글쓰기를 위한)4천만의 국어책 2008 / 이재성 지음 ; 이형진 그림 / 들녘
사건 발화상황 그리고 문장의미 사건 발화상황 그리고 문장의미 2012 / 임채훈 저 / 역락
한국어 동사 교육론 = Korean verb education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한국어 동사 교육론 = Korean verb education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2015 / 고경태 지음 / 한국문화사
(세상에서 가장 쉽고 재미있는)친절한 국어 문법: [큰글자도서] (세상에서 가장 쉽고 재미있는)친절한 국어 문법: [큰글자도서] 2018 / 지음: 김남미 / 나무의철학
글, 삶, 문법 = Text, life, grammar : 교양과 읽기, 쓰기로 통하는 문법 글, 삶, 문법 = Text, life, grammar : 교양과 읽기, 쓰기로 통하는 문법 2019 / 이삼형 외 지음 / 夏雨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2012 / 지음: 국립국어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2, 용법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2, 용법편 2007 / 국립국어원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 주시경 선생님이 국어 문법 16강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 주시경 선생님이 국어 문법 16강 2013 / 최경봉 지음 / 이론과실천
(중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 100 = 面向中國人的 韓國語 語法 100 (중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 100 = 面向中國人的 韓國語 語法 100 2010 / 김중섭 ; 방성원 ; 이정희 ; 조현용 공저 / 랭기지플러스
말이 인격이다  :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 말이 인격이다 :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 2009 / 조항범 지음 / 위즈덤하우스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2008 / 이지영 저 / 태학사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 115가지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 115가지 2010 / 고영근 편 / 박이정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5
30대1
40대1
50대1
60대1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2
2017년0
2018년4
2019년1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