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편 총론
제1장 서론
제1절 교정의 개념
제2절 자유형의 기능과 교정이념
제3절 교정의 한계
제4절 교정학의 위치
제2장 교정학의 대상으로서의 범죄
제1절 형사정책상의 범죄
제2절 범죄유형론
제3절 교정학상의 범죄
제3장 교정학의 대상으로서의 범죄인
제1절 형사정책상의 범죄인
제2절 형사정책상 피해자 분류
제4장 교정학의 대상으로서의 형벌, 미결수용
제1절 서설
제2절 자유형
제3절 사형
제4절 노역장유치, 미결수용
제5장 교정학의 변천과정과 연구방법
제1절 서설
제2절 형사정책학의 변천과정
제3절 형벌이론의 변천과정
제4절 수형자의 법적 지위의 변천과정
제5절 교정학의 변천과정
제6절 교정학의 연구방법
제6장 형집행법의 기초이론
제1절 형집행법의 의의
제2절 형집행법의 성격 및 구조
제3절 형집행법의 목적 및 기능
제7장 교정제도의 역사적 발전
제1절 세계사적 고찰
제2절 우리나라 교정행정의 발전사
제2편 시설내처우제도
제1장 총칙
제1절 구금제도
제2절 교정조직
제3절 순회점검, 시찰, 참관, 권리구제제도
제4절 교정개편기획단(가칭)의 설치운영
제2장 수용
제1절 서설
제2절 수용요건과 수용자
제3절 수용절차
제4절 운영통계
제3장 계호
제1절 서설
제2절 계호의 종류
제3절 비상계호
제4절 교정사고
제5절 교정장비의 개선추진
제4장 접견과 서신
제1절 서설
제2절 접견
제3절 서신
제4절 집필
제5절 전화통화
제6절 운영통계
제5장 급여
제1절 서설
제2절 의류와 침구 및 생활용품
제3절 음식물
제4절 운영통계
제6장 위생과 의료
제1절 서설
제2절 위생
제3절 의료
제4절 위생과 의료에 관한 국제회의
제5절 국제준칙 및 외국사례
제6절 과제와 효율화방안
제7절 운영통제
제7장 교육과 교회
제1절 서설
제2절 교육
제3절 교회
제4절 교정참여인사
제5절 도서열람 및 신문구독
제6절 과제와 효율화방향
제7절 운영통계
제8장 교도작업과 직업훈련
제1절 서설
제2절 교도작업의 목적
제3절 교도작업의 종류
제4절 교도작업의 운영
제5절 직업훈련
제6절 외국의 교도작업
제7절 교도작업에 대한 국제회의
제8절 과제와 효율화방안
제9절 운영통계
제9장 영치
제1절 서설
제2절 영치의 종류·절차
제3절 영치물의 처분
제4절 운영통계
제10장 수형자의 분류와 처우
제1절 서설
제2절 수형자의 분류
제3절 수형자의 처우
제4절 수형자 자치제도
제5절 과제 및 효율화방안
제6절 운영통계
제11장 상우 및 징벌
제1절 서설
제2절 상우
제3절 징벌
제12장 가석방 제도
제1절 서설
제2절 연혁
제3절 가석방의 목적
제4절 가석방의 운영
제5절 가석방의 보호관찰
제6절 가석방의 효과
제7절 가석방의 과제와 효율화방안
제8절 운영통제
제13장 석방
제1절 석방
제2절 석방사유
제3절 석방의 절차
제4절 운영통계
제14장 사형의 집행 및 사망
제1절 서설
제2절 사형
제3절 자연사
제4절 사망 후의 절차
제15장 미결수용
제1절 서설
제2절 구치소
제3절 분류와 처우
제4절 미결수용의 종류
제5절 사형의 집행 및 사망
제6절 과제와 효율화방안
제3편 중간처우제도
제1장 서설
제2장 개방처우제도제
제1절 서설
제2절 연혁
제3절 요건
제4절 개방시설의 처우효과
제5절 한국의 개방처우
제6절 과제 및 효율화방안
제3장 귀휴제도
제1절 의의
제2절 연혁
제3절 한국의 귀휴제도
제4절 문제점 및 효율화방안
제4장 외부통근제도
제1절 의의
제2절 연혁
제3절 외부통근제의 유형
제4절 한국의 외부통근제도
제5절 과제 및 효율화방안
제5장 주말구금제도
제1절 의의
제2절 연혁
제3절 실시방법
제4절 도입방안
제6장 가족접견제도
제1절 서설
제2절 연혁
제3절 한국의 가족만남의 집 제도
제4절 과제 및 효율화방안
제7장 중간처우의 집 제도
제1절 의의
제2절 연혁
제3절 운영
제4절 처우방법 및 특징
제5절 한국의 운영현황
제6절 운영통계
제4편 사회내처우제도
제1장 서설
제2장 소년보호처분제도
제1절 소년보호처분의 의의
제2절 보스탈제도(Borstal system)
제3절 소년보호처분의 종류
제3장 가석방제도
제4장 보호관찰제도
제1절 의의
제2절 연혁
제3절 보호관찰의 법적 성격
제4절 보호관찰제도의 유형
제5절 과제 및 효율화방안
제5장 전자감시와 가택구금제도
제1절 교정정책의 의의
제2절 연혁
제3절 운용의 방법
제4절 전자감시의 교정정책적 전개
제5절 과제 및 효율화방안
제6절 전자감시제도의 운영효과
제7절 결론
제6장 사회봉사명령제도
제1절 서설
제2절 연혁
제3절 이념
제4절 한국의 사회봉사명령제도
제5절 과제 및 효율화방안
제7장 수강명령제도
제1절 서설
제2절 목적
제3절 외국의 수강명령제도
제4절 수강명령제도의 효율성 표본조사내용
제5절 수강명령제도 운영통계
제6절 과제 및 효율화방안
제8장 갱생보호제도
제1절 서설
제2절 연혁
제3절 목적
제4절 한국의 갱생보호제도
제5절 과제 및 효율화방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