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와 국정을 두루 경험한 정치사회학자로서 박형준은 한국 사회에 대한 절절한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시대를 진단하고 전망하는 이 책을 썼다. 그는 한국형 발전국가가 더는 잘 작동할 수 없는 이유를 세계사의 맥락과 대한민국 국가 발전사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목차
책을 내며
서문 왜 새로운 비전이 필요한가 프롤로그 왜 나는 두 날개로 날지 않으면 안 되었는가
1장 이 시대는 과연 어떤 시대인가 - 21세기를 규정하는 5대 이슈 1. 첫 번째 이슈: 글로벌 금융위기와 자본주의 체제의 전환 2. 두 번째 이슈: 누가 이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3. 세 번째 이슈: 국민국가와 민주주의는 죽었는가 4. 네 번째 이슈: 기후 변화는 과연 통제할 수 있는가 5. 다섯 번째 이슈: 길어진 인생은 행복을 주는가
2장 대한민국은 어떤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가 1. 대한민국이 추구한 세 가지 가치: 자유, 민주주의, 경제발전 2. 왜 자유의 가치가 중심인가 3. 진보와 전체주의는 양립할 수 없다 4. 왜 보수의 가치는 고루하게 느껴지는가 5. 이 시대가 요구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6. 대한민국 현대사 제2막의 중심 가치는 무엇인가
3장 어떤 국가발전 모델인가 - 복지국가 바로 알기 1. 국가 모델은 왜 중요한가 2. 복지국가 모델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3. 오스트리아・스웨덴・영국의 정치와 복지체제의 형성・변형 4. 복지국가를 이룬 요인은 무엇인가
4장 한국형 발전국가 모델은 무엇인가 1. 한국형 발전국가 모델의 전개 2. 한국형 발전국가 모델의 핵심
5장 발전국가에서 공진국가로 1. 민주적 발전국가의 전개와 발전국가 모델의 위기 2. 발전국가의 수명은 끝났는가 3. 왜 지금 공진국가인가 4. 공진국가의 가치와 경로 5. 공진국가의 비전과 전략 1: 포용적 성장과 사회적 합의 6. 공진국가의 비전과 전략 2: 혁신 조력 국가 7. 공진국가의 비전과 전략 3: 생태적 성찰 국가 8. 공진국가의 비전과 전략 4: 삶의 질 투자 국가 9. 공진국가의 비전과 전략 5: 양성 공진
6장 공진국가의 열쇠, 근원적인 정치 개혁 1.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 2. 정치의 쇠퇴와 그 출구 3. 정치의 틀을 바꿔야 국가 전환이 가능하다 4. 대한민국 정치에는 어떤 변화가 필요한가 5. 반드시 이뤄야 할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
7장 남과 북의 공진과 통일 1. 격동하는 동북아, 변화하는 통일 환경 2. 북한이 핵무기 보유 국가가 된다는 것은 3. 엄격한 상호주의에서 유연한 상호주의로 4. ‘통일 대박론’의 패러독스 5. 공진국가의 관점에서 본 통일
미주
서가브라우징
진보를 찾습니다 : 진보는 세상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2021 / 지음: 박찬수 / 인물과사상사
한국의 국가 형성과 민주주의 : 냉전 자유주의와 보수적 민주주의의 기원2007 / 박찬표 지음 / 후마니타스
한국의 48년 체제 : 정치적 대안이 봉쇄된 보수적 패권 체제의 기원과 구조2010 / 박찬표 지음 / 후마니타스
선을 넘어 생각한다 : 남과 북을 갈라놓는 12가지 편견에 관하여2018 / 지음: 박한식, 강국진 / 부키
자본의 무의식 : 자본주의의 꿈과 한민족 공동체를 향한 욕망 2023 / 지음: 박현옥 ; 옮김: 김택균 / 천년의상상
자본의 무의식 : 자본주의의 꿈과 한민족 공동체를 향한 욕망 2023 / 지음: 박현옥 ; 옮김: 김택균 / 천년의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