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명학의 생성공간 : 용처럼 나타나고 우레처럼 소리쳐라
발행연도 - 2014 / 정우락 지음 / 역락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41266
-
ISBN
9791156861218
-
형태
52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한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부 남명의 국토사랑과 문화공간
1. 남명의 국토 사랑과 그 기행
1) 유기체적 국토인식
2) 국토기행의 방식
2. 남명과 문화공간
1) 거주지에 따른 공간
2) 문학창작에 따른 공간
3) 상상의 공간 중국
3. 남명학의 문화론적 의미
1) 남명학의 체험적 이해
2) 남명학의 대중성 제고
3) 남명학의 외연 확장
제2부 남명학의 지역별 생성공간
1. 김해지역
1) 깊은 산 높은 바다, 고뇌하는 남명-산해정(1)
2) 산해정에서 세상을 꿈꾸는 남명-산해정(2)
3) 집도 아들도 없는 것이 중과 비슷하고-조차산
4) 태허를 담은 연못-함허정과 구암사
2. 합천지역
1) 용처럼 나타나고 우레처럼 소리쳐라-뇌룡사
2) 아아, 여기가 내 아버지의 묘소다-선고 묘갈
3) 다시 불어오는 높은 바람-함벽루
4) 남명이 생각한 참된 관인상-이영공유애비
5) 자연과 인간을 함께 사랑한 남명-황계폭포(1)
6) 잣나무와 국화, 그 영원한 정신이여-황계폭포(2)
7) 강산풍월의 무언설-사미정(1)
8) 남명이 다시 찾은 벗과 노닐던 옛터-사미정(2)
9) 낙월옥량 혹은 남명과 황강-황강정(1)
10) 황둔강, 그 끝없이 흐르는 한의 깊이-황강정(2)
3. 산청지역
1) 산의 품으로 기른 정대한 하늘-산천재
2) 천하의 영웅들을 부끄럽게 하는 것-백운동
3) 남명의 사물관과 풍자의 세계-단속사정당매
4) 네 가지를 같이 한 남명의 친구-청향정사(1)
5) 시로 그린 청향정사 풍경-청향정사(2)
6) 1560년 겨울과 1561년 봄, 혹은 금란수의 남도여행-정향정사(3)
7) 누가 ‘도화 뜬 맑은 물에 비친 산 그림자’를 보았나-두류산가
4. 고령지역
1) 정사현 객사에서 본 풍경 혹은 시간-월담정
2) 죽연정 가는 길에 만난 풍경 그리고 처사 박윤-죽연정(1)
3) 고독, 그리고 화해로서의 자연-죽연정(2)
5. 영천지역
1) 거북을 보며 장육두문을 생각하며-완귀정(1)
2) 완귀정 혹은 남명 그리는 자리-완귀정(2)
3) 남명이 연꽃을 사랑한 까닭-채련당
6. 기타지역
1) 천 섬의 맑은 물로 마음을 씻은 자리-거창의 포연
2) 하얀 돌의 이마에 흐르는 맑은 구름 한 자락-함양의 화림동(1)
3) 개인 하늘 맑은 물에 인간사 다 떨치고-함양의 화림동(2)
4) 소반에 담긴 두류산 먹어도 다함이 없네-남원의 사계정사
5) 삼세에 얽히는 사람들의 인연-하동의 오대사
6) 푸른 물 푸른 대나무에 온 화살로 흐르는 달빛-양산의 쌍벽루
7) 포석정 혹은 신라의 빛과 그늘-경주의 포석정
8) 가을, 그 쓸쓸함과 청명함의 깊이-남명의 가을
제3부 남명의 지리산 유람과 행단에 관한 상상력
1. 남명의 지리산 기행록-<유두류록>
1) 사물에 대한 객관적 접근과 기록성
2) 자연을 통한 심성수양과 문학성
3) 기록성과 문학성의 상보적 관계
2. 겨울에 본 남명의 여름 지리산
1) 물과 구름은 물과 구름으로-신응사
2) 최치원이 쓴 글씨를 보며-칠불암과 쌍계사
3) 구름을 뚫고 오르는 청학-불일암과 청학동
4) 집으로 돌아가는 길-화개에서 악양까지
5) 악양에서 만난 두 사람-악양정
6) 남명의 지리산과 퇴계의 청량산
3. 행단에 관한 문학적 상상력
1) 행단이 있는 공묘 스케치-행단(1)
2) 남명이 그린 공자의 강학 풍경-행단(2)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