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시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ㆍ박세훈 5
1 이론적 쟁점
•문화, 경제 그리고 도시 김원배_19문화와 경제 20문화와 도시 26장소와 문화, 문화도시 및 창조도시 31문화산업, 문화관광, 문화(산업)지구 39문화전략과 도시발전 46결론: 도시와 문화 연구에 대한 시사점 51
•문화와 도시계획: 오래된 역사, 새로운 만남 박은실_59들어가며 59도시계획에서 문화전략의 등장배경 61문화와 도시계획 역사적 조망 66문화와 도시정책 패러다임 변화와 시대별 특징 74결론 및 시사점 106
•창조도시론, 어떻게 볼 것인가? 남기범_113창조도시론의 등장 배경 113창조도시론의 전개과정 117창조도시에 대한 비판적 성찰 125창조도시론의 한국적 함의 131
•문화지구의 사회경제학:창조의 요람인가, 상업화의 도구인가? 박세훈_139문화지구를 다시 생각한다 139문화지구의 개념, 유형, 변화사이클 142문화지구와 창조성: 혁신은 어디에서 오는가? 149문화지구의 경제적ㆍ사회적 효과 152우리나라의 문화지구: 현황과 과제 160문화지구 정책,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167창조적 문화공동체를 향하여 171
2 실천적 경험
•서울특별시 예술창작공간 조성정책의 성과와 과제 김윤환_179들어가며 179서울시 도시문화정책과 컬처노믹스 전략 180서울시 창작공간 조성사업의 전개 186국내 창작공간정책의 흐름과 쟁점 193서울시 창작공간 정책의 성과와 과제 200몇 가지 제언 205
•부산시 도시문화정책의 성과와 과제:또따또가 그리고 그 이후 차재근_209들어가며 209‘부산 문화비전 2020’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 210원도심 창작공간 ‘또따또가’ 이야기 217또따또가 이후 부산의 도시문화전략 236
•대구의 재발견, 시민주도 도시문화운동의 경험 류태희_241글을 시작하며 241‘대구의 재발견’, 도시문화운동 10년의 궤적 243대구 新택리지 프로젝트 250북성로 재발견 프로젝트 257중구 도시문화운동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265글을 마무리하며 270
•인천시 도시문화정책을 되돌아본다:개발주의와 도구적 문화정책 민운기_273들어가기에 앞서 273‘문화’에 대한 인천시의 사고와 태도 변화 274인천경제자유구역 조성 사업과 ‘문화’ 277“명품도시 인천 건설” 속 ‘도시재생’ 사업과 ‘문화’ 279일방적 개발주의에 반기를 든 배다리 싸움 291민선 5기 송영길 인천시정부의 출범과 도시정책 294도시정책의 전면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302
3 향후 과제
•문화적 도시재생의 해석과 과제 조명래_307도시재생 패러다임의 시대 307문화적 도시재생의 (재)해석 309한국에서 문화적 도시재생: 방식과 오류 316올바른 문화적 도시재생 방안의 모색 325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문화전략,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영범_337문화도시 10년을 통해 본 도시문화전략의 문제점 337지역에 기반한 시민문화공동체의 다양한 실험 349커뮤니티와 상생하는 도시문화전략 추진방향 365
∙저자 약력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