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부 텔레비전 드라마의 형성 과정
1장 1960년대의 정동affect과 텔레비전 드라마 / 원용진
1. 응답하라, 1960년대
2. 모든 드라마적 시도를 꾀하다
3. 단절과 연속의 반복
4. 텔레비전 드라마와 정동
5. 1960년대의 新정동
2장 1960년대 텔레비전의 ‘창작 문예 단막극’: 라디오 방송 문예와 연극 대중화 운동의 관계 속에서 / 백미숙
1. 왜 단만극에 주목하는가
2. 텔레비전을 라디오 방송 문예와 연극 대중화 운동의 맥락에 배치하기
3. 창작, 문예 단만극의 위치와 성격: TV 방송 예술극의 모색
4. 소극장 무대를 스튜디오로:, , <살롱드라마>, <문예극장>
5. 1960년대 미디어 공간의 역동성: 텔레비전 문예 단만극의 흐름과 연극 드라마의 실험
2부 텔레비전 드라마의 이념
3장 한국의 초기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와 민족주의: <아씨>, <여로>, <새엄마>를 중심으로 / 조항제
1. 방송 역사와 민족주의
2. 1970년대 초반의 한국 방송과 민족주의
3. 민족주의와 여성, 여성 장르(들)
4. 민족주의와 양가성
5. 모순과 양가성은 즐김의 대상일 뿐인가
4장 텔레비전 드라마의 왕/대통령 재현, 그 흐름과 의미 / 이영미
1. TV 드라마 속 왕/대통령 그 의미는
2. 前史, 왕 / 대통령의 소재의 영화·라디오 드라마
3. 1960·1970년대 텔레비전 속 왕의 가족 윤리와 대통령의 부재
4. 198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에 들어온 정치
5. 1990년대 이후, 정치 속의 개인을 탐구하다
6. 당대 대중의 정치관과 드라마
5장 1960, 197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이념적 성격과 그 갈등 / 이종숙
1.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이념성에 대한 문제 제기
2. 1960, 197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제작 조건
3. 텔레비전 드라마의 이념적 재현에서의 갈등
4. ‘텔레비전’ 드라마로 역사 쓰기: 이념의 내용에서 이념의 배경으로
3부 텔레비전 드라마의 젠더, 세대, 국경
6장 197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의 근대성과 일상성: 김수현 드라마를 중심으로 / 고선희
1. 1970년대 텔레비전과 ‘김수현 드라마’의 문화사적 위치
2. 1970년대 김수현 드라마의 근대성과 일상성의 재현 양상
3. 김수현 드라마의 장르 경계와 1970년대 텔레비전 멜로드라마
4. 1970년대 김수현 드라마의 사회 문화적 의미
7장 청년 세대와 청춘 영화/드라마: 젊음의 감성 분화 / 박진우
1. 젊음의 표상에 대한 의문
2. 청년과 청춘: 용어의 계보학
3. 1970년대 청춘 영화의 등장과 쇠락
4. ‘1980년대 청춘 드라마’라는 새로운 장르의 출현
5. 젊음의 감성 분화와 청춘물의 계보
8장 왕하이링의 결혼 3부작을 통해 본 중국 여성의 결혼관 / 신혜선
1. 드라마 왕국 중국
2. 왜 왕하이링의 결혼 3부작인가
3. 왕하이링과 결혼 3부작
4. 왕하이링의 결혼 3부작을 둘러싼 중국 사회와 결혼
5. 결혼, 자성과 성찰로 극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