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정신과 지식인> 출간 이후 2년 만에 사회학의 눈으로 본 예술 에세이를 펴냈다. 멀게는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가깝게는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까지를 다룬 이 책에서 김호기 교수는 예술의 일차적 의미로 공감과 위안을 꼽는다.
목차
책머리에
1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위하여─시 민주화는 옛사랑의 그림자일까│김광규─「희미한 옛 사랑의 그림자」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위하여│아담 자가예프스키─「타인의 아름다움에서만」 4월 혁명의 날에 읽는 김수영의 시│김수영─「푸른 하늘을」 갑을관계를 생각한다│정약용─「적성촌에서」 느린 여행을 찾아서│신경림─「장자를 빌려 : 원통에서」 장년세대의 쓸쓸한 풍경│황지우─「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반인간적 학벌사회를 넘어서│이성복─「모래내·1978년」 라틴아메리카의 발견│파블로 네루다─「시」
제2부 다원주의적 상상력을 위하여─소설·희곡 ‘한강의 기적’의 명암│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우리에게 미국이란 어떤 나라인가│최인훈─『화두』 G2 시대의 개막│존 르 카레─『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 다원주의적 상상력을 위하여│움베르토 에코─『장미의 이름』 정전 60년을 생각한다│윤흥길─「장마」 가족의 의미│유진 오닐─『밤으로의 긴 여로』 역사에 대한 예의│황순원─「기러기」 캘리포니아에서 생각하는 ‘1대 99’ 사회│존 스타인벡─『분노의 포도』 남북 이산가족 상봉과 고향의 의미│루쉰─「고향」 공론장, 인권, 민주주의│하인리히 뵐─『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인류의 미래│코맥 매카시─『로드』 시대정신을 묻는다│요한 볼프강 폰 괴테─『파우스트』
제3부 신자유주의의 극복을 위하여─음악 DMZ 기행과 한반도 평화│김민기─〈철망 앞에서〉 신자유주의의 극복을 위하여│U2─〈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 연보라 코스모스를 안고 가는 어머니│장세정─〈울어라 은방울〉 다른 생각과 문화가 교차하는 국경│루시드 폴─〈국경의 밤〉 대중음악에 담긴 사회적 메시지│밥 딜런─〈My Back Pages〉 유목사회의 도래│프란츠 슈베르트─《겨울 나그네》 한국적 개인주의의 등장│서태지와 아이들─〈난 알아요〉 이중적 분단갈등을 넘어서│장일남─〈비목〉 힙합과 서사의 시대│에미넴─〈Lose Yourself〉 음악의 의미│루드비히 판 베토벤─〈운명 교향곡〉
제4부 공감의 시대를 위하여─회화·조각·사진·건축 자아정체성의 발견│빈센트 반 고흐─〈별이 빛나는 밤〉 위기의 지구, 환경의 미래│프랭크 헐리─남극 사진 노동절에 생각하는 전태일│임옥상미술연구소─전태일 반신상 고야에게로 가는 길│프란시스코 고야─〈1808년 5월 3일〉 마포의 추억│김기찬─『골목안 풍경 전집』 우리 시대 지식인의 초상│정도전─경복궁 근정전 ‘보편적 한국’이라는 꿈│이쾌대─〈푸른 두루마기를 입은 자화상〉 시민사회의 역동성│하르먼손 판 레인 렘브란트─〈야간 순찰〉 개방성과 다양성 위협하는 극단사회│라파엘로 산치오─〈아테네 학당〉 공감의 시대를 위하여│에드워드 호퍼─〈코드 곶의 저녁〉
제5부 꿈을 상실한 세대를 위하여─영화·만화 꿈을 상실한 세대를 위하여│주호민─『무한동력』 새로운 시험대에 선 가족관계│기타노 다케시─《기쿠지로의 여름》 경제민주화를 위하여│잭 클레이턴─《위대한 개츠비》 품위 있는 죽음│미카엘 하네케─《아무르》 포위된 젊음│이사야마 하지메─『진격의 거인』 자본주의 문명의 미래│봉준호─《설국열차》 태양계 너머로의 꿈│스티븐 스필버그─《E.T.》 삶의 의미를 묻는다│잉마르 베리만─《산딸기》 양성평등 사회를 향하여│리들리 스콧─《델마와 루이스》 다른 세계를 상상할 권리│앤드류 애덤슨─《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서가브라우징
라이벌 : 세기의 아이콘으로 보는 컬처 트렌드2012 / 김재훈 지음 / 아트북스
공연예술의 이해2009 / 김중효 지음 / 계명대학교출판부
공연예술의 이해2009 / 김중효 지음 / 계명대학교출판부
예술경영2002 / 김주호 ; 용호성 공저 / 김영사
엔터테인먼트사의 25가지 업무 비밀 : 한 팀의 아티스트를 성공시키려면 백 명의 전문가가 필요하다 2022 / 지음: 김진우 / 민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