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을 시작하며_서양철학의 뿌리를 찾아 떠나는 여행
1부 철학의 시작, 그리스를 말하다
1장 그리스인, 문명의 꽃을 피우다
자유와 평등을 자각하다
그리스 정신, 지중해 세계를 지배하다
페르시아 전쟁의 승리
크세르크세스와 데마라토스의 대화
《일리아스》와 《아가멤논》, 그리스 정신의 결정체
불완전한 것은 존재할 가치가 없다
가장 이상적인 인간의 모습을 그려내다
2장 사상의 시작, 호메로스가 간다
호메로스에 관한 역사적 진실
호메로스의 신, 영웅의 세계를 투영하다
새로운 영웅의 등장
호메로스의 영웅들
3장 그리스 비극, 인생의 의미를 노래하다
그리스 비극의 탄생
죄와 벌의 굴레에 종지부를 찍다
운명과는 싸우지 말자
4장 그리스인의 합리성, 철학을 낳다
철학의 탄생
크세노파네스, 신을 말하다
파르메니데스, ‘생각이 곧 존재다’
데모크리토스, ‘영혼의 평정이 곧 행복이다’
최고의 소피스트, 프로타고라스
5장 어떻게 살 것인가?
소크라테스의 질문
삶의 궁극적 근거, 로고스
플라톤, ‘정의란 무엇인가’
세계를 인식하는 근거, 선의 이데아
아리스토텔레스, ‘행복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2부 성경, 유럽의 생각을 엿보다
구약성서 속으로
1장 유대인, 드라마 같은 역사가 시작되다
신앙의 아버지, 아브라함
가장 사랑하는 것을 바쳐라
십계명, 이스라엘의 민족성을 만들다 |
구세주 여호와를 만나다
번영과 멸망, 이스라엘의 굴곡진 운명
2장 〈창세기〉 속 신의 모습
무에서 시작된 우주 창조의 의미
자신을 본뜬 모습으로 인간을 창조하다
우상을 만들지 마라
3장 성서 속 예언자들
예언자들이 말하는 새로운 신의 모습
아모스, 다시 윤리로 돌아가라
호세아, 하나님의 구원을 역설하다
바벨론 유수, 유대인의 선민사상을 뒤흔들다
신약성서 속으로
4장 예수, 짧은 생을 마치다
예수의 탄생
예수는 왜 살해당해야 했을까
5장 예수는 무엇을 말하는가?
율법 대신 사랑을
‘착한 사마리아인’, 사랑의 본질을 말하다
잃은 아들을 되찾은 아버지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용서하라
신은 왜 히틀러를 단죄하지 않았을까?
힘 있는 자에게도, 힘 없는 자에게도 평등하라
천국은 우리 가운데 있다
철저히 자신을 버려라
6장 바울, 이방인의 사도가 되다
최초의 신학자, 바울
박해자에서 충실한 추종자로
스스로 죽고 그리스도 안에 살다
바울, 율법주의의 철옹성을 부수다
3부 쉽게 읽는 서양철학사
1장 중세 기독교 철학자, 인간과 신을 논하다
아우구스티누스, ‘인간의 존재와 신의 삼위일체’
아퀴나스, 이성과 신앙의 균형을 꾀하다
중세 말 격변기, 오컴이 등장하다
종교개혁의 대표자, 루터
2장 이성주의, 이성의 힘으로 진리를 밝히다
데카르트, 흔들리지 않는 진리를 확립하다
데카르트의 ‘신의 존재 증명’
칸트, 형이상학을 다시 세우다
선한 의지와 근본악
3장 경험주의, 인식의 바탕은 경험에 있다
흄, 인과율을 고찰하다
인격의 동일성 비판, 여전히 남은 자아의 문제
4장 사회철학, 세상을 움직이다
왕권의 제어와 민주주의의 태동
페르마의 왕권신수설
인간의 자유와 소유권의 성립
‘공공의 선’과 국민주권
헤겔과 마르크스, 그리고 기독교의 종말론
현대의 역사적 상황
롤스, ‘자유란 무엇인가?’
5장 실존철학, 존재의 의미를 묻다
키에르케고르, 실존의 관념을 이끌어내다
부조리로의 도약
니체, 신의 죽음과 초인의 등장
영원회귀, ‘긍정의 최고의 방정식’
하이데거, 인간의 존재와 존재망각
‘발현론’, 존재와 인간의 근원적 공속성
레비나스, 전체주의와 대학살 극복 모색
보답을 바라지 않는 선의
책임과 연대, 인간을 완성하는 가치
옮긴이의 글_철학의 바다에서 헤엄치는 방법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