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신서 일본학총서' 95권. 러일전쟁을 거쳐 일어난 다양한 현상이 시공간을 뛰어넘어 갖게 되는 세계적 관계.의미를 일본과 아시아의 교류/단절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목차
시작하며
제1장 근대 국제사회로의 참가 1. '만국공법'의 세계로 만국공법을 통해 국제사회로 참가 주권국가 체계 문명국표준주의 만국공법과 약육강식의 세계 2. 책봉·조공체제와 일본 화하 사상·화이 관념 '신국' 일본 조공과 종번관계 류큐 귀속 문제 3. 메이지 일본과 중국·조선의 국교관계 중국과의 국교 조선과의 국교 책봉체제의 재편 4. 조선의 '자주·독립'이란 무엇인가 청일전쟁 강화조약 독립협회운동과 자주개혁 보호국에서 한국 병합으로 국제법과 책봉체제의 이중성
제2장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 1. 오쓰사건과 시베리아 철도 오쓰사건과 사법권의 독립 러시아 대사관 투석사건 사이고 생환 전설 시베리아 철도의 세계사적 의의 2. 러시아 위협론의 추이 동아시아 문제에서 태평양 문제로 '이익선'으로서의 조선 쓰시마사건과 거문도사건 3. 삼국간섭 청일전쟁 시모노세키 강화조약 열강의 의도 4. 청일전쟁 후의 동아시아 민비살해사건 열강의 중국 분할 러시아와 동청철도 5. 북청사변과 동아시아 북청사변에 대한 출병 6. 북청사변의 연쇄 청말의 신정개혁 대지문화사업 애국부인회 센닌바리 지나주둔군
제3장 러일 개전으로 1. 삼국간섭 이후 와신상담 힘의 복음 2. 청일전쟁 후의 전후 경영 군비확장과 대러전에 대한 회의 3. 러시아의 만주 주둔 북청사변과 러시아 아무르강의 유혈 거아의용군 러일협약 노선과 그 좌절 영일동맹으로 철병정책에서 ‘신정책’으로의 전환 4. 개전외교 대러 교섭 주전론의 분출
제4장 20세기 최초의 세계전쟁 1. 러일전쟁의 전개 선전포고 육군 해군 료마 전설 러시아의 러일전쟁 2. 강화와 조선 문제 강화회담 미국의 등장 한국 보호국화로 이 날에 목 놓아 크게 우노라 이집트와 한국 3. 인종전쟁과 미디어전쟁 황화론 황인복 선전 전쟁 유대인 대학살(pogrom)과 러일전쟁 강화외교와 미디어 전략 황화론에서 배일(排日)로 4. 언론·학문의 자유와 통제 신문의 비약 언론통제 도미즈 사건
제5장 세계와의 관계, 일본을 향한 시선 1. 지의 결절 고리로서의 일본 러일전쟁의 충격 입헌제의 채용 2. 사회주의와 혁명의 연쇄 짧은 20세기 사회주의 평민사와 국제사회주의 제2인터내셔널 제1회 메이데이 들어라, 만국의 노동자 사회주의 사상의 연쇄 국제적 결사운동 3.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의 교차 무사도 영국에서의 무사도관 국혼 4. 아시아를 향한 시선, 아시아로부터의 시선 세계사의 세 구분 문장적 무비 고용교사로서 아시아의 공적으로
제6장 주전론과 비전론의 세기 1. 러일전쟁 이후 일본 사회의 변화 지방개량운동 니노미야 긴지로 상과 민속학 전후의 군비확장 '총후'의 형성 2. 세계대전과 평화회의 제1차 세계대전으로의 길 만국평화회의 헤이그 밀사사건 3. 비전론과 회화·문학 마카로프 제독 비전화가 베레시차긴 승리의 비애 가르신의 비전문학 후타바테이 시메이 가르신과 루쉰 4. 비전론의 20세기 톨스토이 아우야, 절대로 죽지 말아라 평민사의 톨스토이 비판 비전론 그리고 징병거부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주요 사료 및 참고문헌 후기 옮긴이 후기 인명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2005 / 하시야 히로시 지음 ; 김제정 옮김 / 모티브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