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제국주의시대 프랑스가 캄보디아의 앙코르 유물을 반출하는 이야기를 다룬 근대 고고학사에 관한 책. 본문만 약 600쪽, 주, 그림목록,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 등도 무려 100쪽이 넘으며, 19세기부터 최근까지의 다양한 고문서 자료를 포함하여 100여 컷이 넘는 사진자료까지 수록하고 있다.
목차
서장 파리의 국립아시아미술관과 앙코르 유적의 근대 고고학사
제1장 루이 들라포르트와 앙코르 유적 복원의 꿈
·기메미술관의 전시품과 들라포르트
·모험담으로서의 유물반송
·들라포르트의 크메르미술관(美術觀)
·파리에서 열린 최초의 크메르미술 전시
·크메르미술관에서 인도차이나미술관으로
·인도차이나미술관의 복제품 전시
·복제품에 나타난 19세기 말 유적의 상황
·19세기 복원의 이상
·참뱃길 조각을 둘러싼 수수께끼
·고고학적 스펙터클과 만국박람회
·만년의 들라포르트
제2장 프랑스극동학원의 창설과 그 정치학
·초대원장 선출을 둘러싼 수수께끼
·초창기 극동학원 조사의 실상
·일본학자 클로드 메트르
·고고학적 조사를 위한 법적 정비
·법제하에서의 유물의 관리와 이동
·극동학원 창설의 정치학
·크로노폴리틱스와 지오폴리틱스
제3장 본국의 이념과 식민지 실천의 틈바구니에서 (1) ―현지조사원의 현실
·두 장의 사진 ―야누스의 얼굴을 가진 동양학자
·프랑스 동양미술연구의 이중적 기준
·문헌학자 카바통과 유적목록 작성자 라종키에르
·두 조사원의 죽음, 카르포와 오당달
·건축가의 작업, 뒤푸르와 파르망티에
·앙코르보존국장, 코마이유와 마셜
·캄보디아 출생의 예술국장, 그롤리에
제4장 본국의 이념과 식민지 실천의 틈바구니에서 (2) ―메트로폴의 발전
·20세기 초 파리의 동양학 사정
·파리의 동양미술사료
·파리의 오리엔탈리스트 (1) ―조제프 아캉
·파리의 오리엔탈리스트 (2) ―메트로폴의 총아, 그루세와 스테른
·그루세의 동양미술사 이념
·동양미술관의 재편성 (1) ―기메미술관의 변혁
·동양미술관의 재편성 (2) ―국립미술관 통합과 인도차이나미술관의 종언
·동양미술 교육체제의 확립 ―루브르학원의 아시아미술교육
·보편주의, 형식주의, 그리고 식민주의
·방법론적 어긋남의 표면화 ―스테른 저 『앙코르 유적 바이욘』의 충격
·스테른의 앙코르 참배
제5장 앙코르 고고학의 발전과 그 무대 뒤 (1) ―고고학사상의 말로 사건
·말로 사건과 고고학사
·사건의 개요
·말로 사건에서 보는 1920년경 고고학의 상황
·법적 근거의 모호함과 문화재보호법의 개정
·법 개정의 무대 뒤
·사건 후의 반테아이 스레이 재조사
·파르망티에의 논문과 ‘동양의 모나리자’
·소생하는 반테아이 스레이
·아니스틸로시스와 복원의 사상
제6장 앙코르 고고학의 발전과 그 무대 뒤 (2) ―현지의 혼란과 메트로폴의 몰이해
·학원의 새로운 얼굴 ―세데스와 골루베프
·골루베프의 새로운 고고학 방법
·그롤리에의 캄보디아예술국, 미술학교, 미술관
·캄보디아의 전통부흥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캄보디아예술국에서 보는 식민지정책의 변화
·그롤리에의 암약과 앙코르 고고학에 미친 영향
·학원에 의한 고미술품 판매
·증가 일로의 고미술품 판매 ―구미 미술관과의 거래
·근대 고고학·미술사학에 바친 ‘공물(貢物)과 공물(供物)’
·메트로폴의 몰이해
제7장 파리 국제식민지박람회와 앙코르 유적의 고고학
·식민지박람회와 고고학의 공헌
·복원된 앙코르와트의 상징적 의미
·마르세유박람회의 앙코르와트
·식민지박람회와 극동학원
·정확한 세부가 의미하는 것
·극동학원전람회
·식민지궁에서 보는 인도차이나와 앙코르 유적의 표상
·식민지궁의 건축양식
·파사드의 거대한 식민지 두루마리그림
·쟈니오의 양식
·프레스코 장식 ―중앙 홀과 두 개의 살롱
·그림 속의 고고학과 전통공예
·박람회와 고고학·미술사
제8장 앙코르 유적의 고고학사와 일본
·전시하 일본의 앙코르 붐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일본인에 의한 앙코르 연구
·일불회관과 극동학원의 연대
·제2차 세계대전 중의 일불회관
·일불인 문화협력 전야 ―전시하 극동학원의 균열
·제1회 교수 교환, 오타 마사오
·불인 순회 현대일본화전람회
·골루베프의 내일 강연과 전람회
·남부 불인진주와 문화협력의 변화
·전시하 일본에 있어서 앙코르 유적의 의미
·제2회 교수 교환, 우메하라 스에지
·세데스의 내일 계획
·극동학원과 제실박물관의 고미술품 교환
·전시하의 고미술품 증여와 판매
·식민지 고고학의 종언과 새로운 비극의 시작
·마지막으로 ―일본이 꾼 앙코르의 꿈
종장 후기를 대신하여
옮긴이의 글
주
그림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