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여성학과 페미니즘은 오직 여성만을 위한 것이다? 여성스럽거나 남성스러운 것은 타고난 것이다? 여성과 남성의 이름으로 만들어지는 상징, 정체성, 이데올로기, 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국내 연구자 15명이 한국적 상황에 맞게 풀어 쓴 젠더 연구서다.
목차
들어가는 글
1부 성별화된 사회와 젠더 체계
[역사] 여성주의 역사와 젠더 개념의 등장 / 이남희
근대 사상과 페미니즘의 탄생
계몽주의에서 자유주의 여권론으로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등장에서 세계대전까지
새로운 페미니즘, 새로운 여성운동
여성해방운동의 이론가들
성해방과 여성해방
한눈에 보는 여성주의 운동사
[이론] 젠더와 사회구조 / 김현미
젠더의 의미
젠더 불평등
젠더 분석법
그녀의 역사
주변적 남성의 목소리 듣기
젠더 개념의 확장
젠더와 실천 운동
[문화] 인류학으로 젠더 읽기 / 김민정
문화와 섹스, 젠더
젠더 위계와 사회 위계
근대 사회의 변화와 성 정체성
[과학] ‘두개의 성’과 성차에 대한 과학적 신념 / 하정옥
생물학적 성차와 사회적 성차, 그리고 과학의 물신화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
세계관의 변화와 두 가지 성의 등장
생물학적 성차 연구의 역사적 사례
생물학적 성차 연구의 규칙과 맥락: 과학의 객관성 실천 양식과 사회문화적 배경
[섹슈얼리티] 성별화된 섹슈얼리티와 여성주의 성정치학 / 이나영
누가 누구와 사랑해야 하는가
섹슈얼리티란 무엇인가? : 생물학적 본능인가, 사회·문화적 구성물인가?
여성주의자들의 도전
성적 쾌락과 위험 사이에서: 성폭력과 성매매 생각해 보기
여성주의 성정치학의 지향점
[이주] 지구화 시대의 이주와 젠더 / 황정미
이주와 젠더
왜 여성들은 길을 떠나는가?
다양한 이주 과정과 새로운 성별 위계
한국 사회의 이주 현상과 젠더
지구화 시대의 젠더 문제: 전망과 과제
2부 젠더와 일상
[연애] 이성애 연애와 친밀성, 드라마처럼 안 되는 이유 / 나임윤경
‘작업의 정석’
지금 한국사회는 (이성애) 연애 중
대학생들의 연애
페미니즘과 ‘낯선’ 일상성
[몸] 신자유주의 시대 경쟁하는 몸 / 김양선
몸의 사회
한국사회의 몸 만들기 열풍
몸 만들기 열풍의 원인
몸자본, 몸의 계급화, 조형적 몸
몸 프로젝트의 문제점과 원인
몸 중심 사회에서 탈주와 저항은 가능한가
[가족] ‘가족들’ 안과 밖의 여성 그리고 남성 / 허민숙·신경아
“가족은 OOO이다.”
가족과 개인
가족이란 무엇인가?
작아지는 가족, 혼자 사는 사람들의 증가
변화하는 가족, 다양한 가족들
친밀한 관계의 폭력을 해석하는 관점
가족에 대한 새로운 상상 시작하기
[노동] 불안정한 노동시장에서 살아남기? / 신경아
졸업 후 뭐하세요?
노동자, 그 이름이 낯선 이유
젠더와 노동시장
남성중심적 조직 문화와 성차별
성평등을 향한 실천
[남성성] 남성성의 위기와 한국의 남성문화 / 엄기호
위기의 남성과 남성문화
한국에서 남자로 산다는 것
한국의 남성문화와 남성동성사회
남성성과 능동성, 그리고 자유
남성성의 위기와 ‘루저’ 문화
젠더 질서의 위기와 새로운 남성성의 모색
새로운 남성성 출현을 기대하며
[미디어] 아이돌 공화국: 소녀 산업의 지구화와 소녀 육체의 상업화 / 김예란
소녀 육체의 상업화
걸 파워의 지구화
한국 소녀 산업의 부상
소녀의 재성애화: 모호성이라는 미화 전략
아이돌 공화국의 탄생과 롤리타 민족주의 부상
대안적 소녀 문화를 위해
3부 젠더를 넘어서 성평등으로
[복지] 돌봄은 누구의 책임인가 / 송다영
새로운 정책 이슈로서 돌봄 문제와 복지국가
복지국가, 돌봄, 젠더 레짐
국내 돌봄 정책의 전개와 한계
탈성별화·탈계층화된 돌봄 정책을 위하여
[정책] 여성주의, 국가, 성평등 / 마경희
여성 정책에 대한 몇 가지 오해
여성주의 성평등 비전과 의미 변화
한국 여성 정책의 변화와 현주소
[운동] 시민사회와 성평등운동 / 정현백
한국의 시민사회 형성과 성평등운동의 시작
성평등운동의 여러 갈래
글로벌 시대 성평등운동과 ‘연대의 정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