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12년에도 대통령과 435명의 하원의원 전체, 상원의원의 1/3을 새로 선출하는 일반선거가 치러졌다. 본 연구서는 이번 선거의 과정과 결과, 주요 이슈들과 그것들의 정책적 함의, 유권자의 선택과 그 변화를 정밀하게 추적하는 12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책 머리에
제1부 선거 과정과 결과
제1장 선거는 후보를 선택하는 것, 지난 4년의 평가가 아니다: 오바마의 재선 캠페인 전략의 분석 / 김준석
Ⅰ. 들어가며
Ⅱ. 미국 대통령선거제도 자체가 후보를 전략가로 만든다: 선거인단과 승자독식제도
Ⅲ. 오바마 재선 가도의 최대의 고민: 지지부진한 국내 경제회복
Ⅳ. 오바마의 2012년 재선 전략의 배경
Ⅴ. 오바마의 재선 전략의 내용
Ⅵ. 글을 맺으며
제2장 SNS 선거운동과 오바마의 재선 / 서현진
Ⅰ. 서론
Ⅱ. 온라인 선거운동의 변화와 SNS의 등장
Ⅲ. 오바마와 롬니 후보의 소셜 미디어 선거운동 전략 비교
Ⅳ. 결론
제3장 2012년 미국 대선의 선거 구도와 유권자 선택 / 류재성
Ⅰ. 서론
Ⅱ. 오바마 행정부의 성과와 평가
Ⅲ. 유권자의 선택
Ⅳ. 주별 지지의 변화(2008~2012)
Ⅴ. 나가며
제4장 2012 미국 의회선거: 과정과 결과 그리고 의미 / 유성진
Ⅰ. 서론
Ⅱ. 예비적 논의: 미국 의회선거의 역사적 경향 그리고 동시선거
Ⅲ. 2012년 미국 의회선거의 구도와 결과
Ⅳ. 결론: 2012년 의회선거의 결과와 미국 정당정치
제2부 유권자 집단과 정당지지
제5장 공화당 예비선거에서 티파티 운동 지지자들의 후보 선택 / 손병권
Ⅰ. 서론
Ⅱ. 분노와 위협의 대상으로 본 티파티 운동 지지자들의 성향
Ⅲ. 공화당 예비선거에서 티파티 운동 지지자들의 후보 선택
Ⅳ. 결론: 정리, 의의, 한국 정치에의 함의
제6장 정당 분극화의 심화와 2012년 미국 대선: 정당 지지기반과 유권자의 정책적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 정진민
Ⅰ. 서론
Ⅱ. 정당 분극화의 심화 배경
Ⅲ. 정당 지지기반의 차이와 2012년 대선
Ⅳ. 정당 지지자들의 정책적 입장 차이와 2012년 대선
Ⅴ. 무당파 유권자와 초당파적 협력정치
Ⅵ. 결론
제7장 2012년 미국 대선과 인종정치 / 장승진, 장혜영
Ⅰ. 미국사회의 변화와 인종문제
Ⅱ. 오바마 집권 이후 미국사회의 인종간 관계
Ⅲ. 오바마 집권기 인종 집단별 정치적 태도
Ⅳ. 2012년 미국 대선에서의 소수인종 투표 행태
Ⅴ. 결론
제3부 선거 이슈와 정책
제8장 2012년 미국 대선과 경제 이슈 / 정수현
Ⅰ. 들어가는 글
Ⅱ. 오바마 집권기간 동안의 경제상황과 유권자들의 대통령 지지 변화
Ⅲ. 오바마와 롬니의 대선공약과 유권자들의 두 후보에 대한 인식
Ⅳ. 맺는 글
제9장 의료보험개혁 이슈와 미국사회의 균열 / 이소영
Ⅰ. 들어가는 말
Ⅱ. 미국 의료보험개혁의 정치
Ⅲ. 의료보험개혁과 2012 대선
Ⅳ. 오바마 2기 정부와 의료보험개혁 전망
제10장 2012년 미국 대선과 이민 이슈 / 정회옥
Ⅰ. 서론
Ⅱ. 오바마 1기 행정부와 이민문제
Ⅲ. 2012년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과 공화당의 이민 공약
Ⅳ. 2012년 미국 대선에서 이민 이슈와 유권자의 선택
Ⅴ. 결론
제11장 미국 대통령선거의 외교안보적 함의 / 정구연
Ⅰ. 서론
Ⅱ. 오바마 정부와 세계외교안보질서
Ⅲ. 2012년 미국 대선에 나타난 외교안보현안
Ⅳ. 미국 대선과 한미관계 고찰
Ⅴ. 결론
제12장 미국 대선 이슈 입장에 대한 한국 뉴스매체의 반응 / 박영환
Ⅰ. 서론
Ⅱ. 오바마와 롬니의 이슈 입장
Ⅲ. 한국 뉴스매체의 보도행태
Ⅳ. 결론
색인
집필진 소개(원고 게재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