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언어의 이해
제1장 언어의 본질
1. 언어의 본질
2. 언어기원설
3. 인간의 의사소통
4.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제2장 언어와 문화
1. 문화의 유형
2. 다른 문화에 대한 태도
3. 몸짓법
4. 문화교육의 목적과 수준
5. 문화적 활동
6. 문화와 의사소통
제2부 언어교수학 이론
제3장 언어교수학
1. 제2언어 연구의 문제점
2. 주변 학문과의 관계
3. 언어교수학의 목표
4. 연구방향: 계몽적 절충식
제4장 언어학습이론
1. 학습과 언어학습
2. 언어학습의 특징
3. 언어학습의 변수
4. 언어교수학의 발달
제5장 언어교수문법이론
1. 언어학의 두 학파: 구조주의와 생성주의
2. 심리학과 문법이론
3. 문법이론의 언어교수학적 관점
4. 실제적 적용: 교수문법
제6장 언어습득·언어학습 발달론
1. 언어습득과 언어학습
2. 언어습득장치와 가설검증
3. 언어습득·언어학습의 발달단계
4. 언어습득·언어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5. 결론
제7장 언어학습자
1. 생물학적 특성
2. 인지적 특성
3. 감성적 특성
4. 성격적 특성
5. 사회적 특성
6. 성공적인 언어학습자
제8장 언어교수학자
1. 언어교수
2. 제2언어 교수의 원리원칙
3. 언어교수학자
제9장 대조분석과 중간언어
1. 대조분석
2. 오류분석
3. 중간언어
제10장 오류분석 이론: 종류, 형식 및 그 적용 방법
1. 언어전이현상
2. 자료
3. 단락
4. 생략현상
5. 관사
6. 전치사
7. 어순
8. 수
9. 시제
10. 기타 중요한 오류
11. 결론
제3부 기능별 언어지도법
제11장 언어교수방법론
1. 전통적 배경
2. 교수방법의 개혁기
3. 심리학 중심의 신경향
4. 유럽의 영향
5. 특수상황에 적용된 방법론
6. 결론: 최상의 교수법이 있는가?
제12장 발음지도
1. 발음지도의 기준
2. 다양한 지도법
3. 발음지도의 단계
4. 발음연습과 기술
5. 발음학습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소
제13장 문법지도
1. 언어교수학문법이란 무엇인가?
2. 연역법·귀납법·통제된 발견법
3. 문법지도단계
4. 문법연습유형
제14장 어휘지도
1. 어휘의 종류
2. 제2언어의 어휘학습량
3. 어휘의 선택과 제시
4. 어휘연습
5. 어휘학습의 유의사항
제15장 듣기·읽기·쓰기지도
1. 듣기지도
2. 읽기지도
3. 쓰기지도
제16장 평가
1. 일반적인 평가유형
2. 제2언어 평가유형
3. 종합적인 능숙도평가
4. 등급화
5. 표준화된 평가의 이용
부록
색인(국문·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