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중국고대철학사>(소명출판사)에서 선진시대의 철학사 전반을 다루고 <중국중세철학사>(예문서원)에서 한대와 위진남북조시대, 당대의 철학사를 다룬 데 이어, 이번에 선보이는 <중국근대철학사>에서는 송대와 명대, 청대의 철학사를 다루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지은이의 말
옮긴이의 말
제1부 송대
북송편
제1장 고대 유학의 계승
1. 호원
2. 석개
3. 구양수
4. 사마광
5. 왕안석
제2장 신유학자: 성리학의 선구자들
1. 소옹
1) 생애와 저술
2) 형이상학
3) 우주론
4) 실천철학
5) 철학자들에 대한 평가
6) 소옹에 대한 평가
2. 소백온
3. 주돈이
1) 생이
2) 저술
4. 장재
1) 생애와 저술
2) 형이상학
3) 실천철학
4) 철학자들에 대한 평가
5. 정호
1) 생애와 저술
2) 형이상학
3) 실천철학
4) 철학자들에 대한 평가
6. 정이
1) 생이
2) 철학
제3장 이정의 제자들
1. 양시
2. 사양좌
3. 여대림
제4장 다양한 성향의 철학자들
1. 호상학파
1) 호안국
2) 호굉
3) 호인
2. 소씨 삼부자
1) 소순
2) 소식
3) 소철
3. 그 밖의 철학자들
1) 자화자
2) 왕빈
3) 나종언
4) 이동
남송편
제1장 성리학자들
1. 주희
1) 생애
2) 저술
3) 형이상학
4) 자연철학
5) 심론
6) 윤리
7) 육구연과의 관계
2. 채원정
3. 황간
4. 진순
1) 태극과 리
2) 도와 덕
3) 성과 명
4) 귀신과 혼백
5) 음양
6) 몸과 마음
7) 정과 의지
8) 삶과 죽음
9) 불가와 도가
10) 수행
5. 진덕수
6. 진식
제2장 심학자들
1. 육구연
1) 생애
2) 학설
3) 주희와의 대립
4) 평가
2. 양간
1) 나
2) 양지
3. 위요옹
4. 원섭
제3장 그 밖의 철학자들
1. 장식
2. 진량
3. 여조겸
4. 섭적
5. 채침
6. 유인
제2부 원대
1.허형
2. 오징
3. 진원
4. 정옥
5. 조해
제3부 명대
제1장 명대 초기의 두 유학자
1. 유기
2. 방효유
제2장 주자학의 계승
1. 오여필
2. 섭선
1) 리기론
2) 음양오행과 사물
3) 세계의 무한과 영원
4) 신, 심, 혼
5) 학업
6) 명상과 숭배
3. 호거언
1) 태극과 기
2) 무와 공
3) 리와 마음
4) 안과 밖, 마음과 현상
5) 생득지와 획득지, 그리고 학업
6) 마음의 수양, 집중과 명상
제3장 기일원론자
1. 섭자기
2. 나흠순
1) 리기론
2) 마음과 성
3) 다른 철학자들에 대한 비판
3. 오정한
4. 왕문론
5. 양동명
제4장 심일원론자
1. 조단
2. 진헌장
3. 담약수
4. 호직
5. 황도주
제5장 양명학파
1. 왕수인
1) 생애와 저술
2) 마음과 리
3) 격물과 학업
4) 양지
5) 선과 악
6) 육구연, 주희, 다른 철학자들과의 관계
7) 왕수인에 대한 평가
2. 왕간
3. 서애
4. 추수익
5. 전덕홍
6. 왕기
1) 관념주의
2) 마음
3) 양지
4) 선과 악
5) 행과 불행
6) 명상
7) 호흡법
7. 나홍선
제6장 동림서원의 철학자들
1. 고헌성
2. 고반룡
3. 유종주
제7장 도가
1. 지유자
2. 여곤
3. 장원신
1) 형이상학
2) 자연철학
3) 인간학
4) 삶과 죽음
5) 인식과 지식
6) 문학
7) 정치
8) 생의 지침
제4부 청대
17세기편
제1장 범신론자
1. 손기봉
1) 생애와 저서
2) 신과 세계
3) 인간의 마음
4) 인간의 몸
5) 정좌
2. 조어중
제2장 교체기의 두 거인: 황종희와 고염무
1. 황종희
2. 고염무
제3장 주희의 추종자: 왕부지와 육농기
1. 왕부지
2. 육농기
제4장 왕수인의 추종자: 당견
제5장 주희와 왕수인의 사이
1. 위예개
2. 경개
3. 이옹
1) 생애
2) 학설
제6장 교육가
1. 육세의
1) 생애와 저서
2) 도, 심과 리
3) 인성
4) 우주
5) 교육과 학업
2. 장이상
3. 장이기
4. 탕빈
5. 안원
1) 생애
2) 교육
3) 이론철학
4) 인간과 하늘
5) 윤리
6) 실천적인 제안
6. 이공
18세기편
제1장 반주자학파
1. 증국번
2. 유월
제2장 유학적 불교학자
1. 강유위
1) 생애
2) 저술
3) 종교
4) 유학
5) 정치
6) 사회학
2. 양계초
1) 생애와 저술
2) 종교와 철학
3) 유학과 불교
4) 형이상학
5) 불멸성
6) 실천철학
7) 정치
3. 담사동
제3장 하증우와 왕국유
1. 하증우의 종교철학
2. 왕국유의 비판철학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