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도시에 관한 개념 정립과 한국 사회의 도시화
제1절 도시화와 도시행정
제2절 도시에 대한 개념 정립과 조작적 정의
제3절 도시 : 변화, 혁신, 경쟁력의 공간
제4절 한국 도시 성장에 대한 인구지리학적 요인
제5절 맺는 말
제2장 도시행정에 대한 체제적 접근
제1절 시스템의 개념과 특성
제2절 일반 체제의 속성
제3절 도시행정에 대한 체제적 접근
제4절 맺는 말
제3장 도시행정의 주요 이론적 접근
제1절 베버의 관료제적 접근
제2절 공공선택론
제3절 신공공관리론
제4절 도시정부 역할의 변화 : 기업가적 원리의 도입
제5절 도시정부의 거버넌스 접근
제6절 맺는 말
제4장 도시 공공서비스
제1절 공공서비스의 개념
제2절 재화의 분류
제3절 공공서비스 공급 단위 분석
제4절 공공재의 공급 방식
제5절 공공재의 무임승차 문제와 해법에 대한 논의
제5장 일선행정으로서 도시행정
제1절 일선공무원의 개념 정립
제2절 일선공무원의 권한
제3절 일선행정의 특성
제4절 일선관료의 업무환경
제5절 시민의 공공서비스 요구에 대한 일선공무원의 반응 행태
제6절 일선행정 서비스 전달의 문제점
제7절 일선행정의 차별행위
제8절 일선공무원의 책임성
제9절 일성행정의 업적평가
제10절 일성행정의 만족도 결정 요인
제11절 일선행정 혁신
제12절 맺는 말
제6장 지방자치와 도시정부제도
제1절 지방자치의 개념과 목적
제2절 미국 도시자치제도의 정립 과정과 유형 분석
제3절 한국의 도시자치
제4절 맺는 말
제7장 광역 대 소구역 행정 : 도시행정 구역 범위에 대한 논의
제1절 행정구역 설정의 원리
제2절 광역행정
제3절 소구역 자치행정과 티부 모형
제4절 맺는 말
제8장 도시정부의 정책 과정 분석
제1절 도시정책의 개념과 특성
제2절 도시정책 과정과 모형
제3절 도시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행위자들
제4절 도시정책 접근 방식
제5절 도시정책 과정의 문제점과 혁신 방안
제6절 맺는 말
제9장 도시 거버넌스
제1절 도시 거버넌스의 개념과 특성
제2절 도시 거버넌스의 등장 배경
제3절 도시 거버넌스와 관련된 이론들
제4절 도시 거버넌스 모형
제5절 도시 거버넌스의 형성 요건
제6절 좋은 거버넌스
제7절 한국과 해외의 도시 거버넌스 동향
제8절 도시 거버넌스에 대한 비판적 논의
제9절 맺는 말
제10장 포스트모던 사회의 도시행정
제1절 들어가는 말
제2절 포스트모던과 도시행정 : 이론적 논의
제3절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성과 근대 도시행정 사이의 대립된 쟁점들
제4절 포스트모던 사회의 도시행정
제5절 맺는 말 : 담론의 요약과 결론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