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매소성, 기벌포 전투를 비롯한 나당전쟁의 주요 전투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고, 나당전쟁 인식상의 문제점, 전투 장소의 비정 등을 다룬다. 그 과정에서 고고학, 지리학, 기상학, 천문학 등 인접학문을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접근방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차
서론
제1장 나당전쟁 인식상의 문제
1. 삼국통일전쟁론과 백제통합전쟁론
2. 당의 한반도 방기론의 제문제
1) 매소성 전투의 이해 문제
2) 설인귀의 기벌포 전투 참여 문제
제2장 나당전쟁의 원인과 開戰
1. 나당전쟁의 원인과 신라의 전쟁준비
1) 나당전쟁의 정치적 원인
2) 나당전쟁의 군사적 원인
3) 신라의 전쟁준비
2. 오골성 전투와 신라의 요동 선제공격
1) 오골성 전투의 분석
2) 신라군의 편성과 성격
3) 신라군의 요동작전의 의미
제3장 나당전쟁의 확대와 전투양상
1. 나당전쟁의 확대와 당군의 戰力
1) 나당전쟁의 전개과정
2) 당군의 규모와 편성
3) 말갈의 병종 재검토
2. 신라 수군의 활동과 제해권 장악
1) 당의 웅진도독부 구원군 파견
2) 신라의 당 수송선단 공격
3) 신라의 문두루 비법 시행
제4장 신라의 勝戰과 당군의 철수
1. 당의 군사전략과 그 변화
1) 동서 양 전선의 유지 전략
2) 서역로 회복과 신라 원정군 편성
3) 토번의 당 內地 공격과 전략 변화
2. 매소성 戰役과 신라의 승리
1) 당의 병력 충원과 교대
2) 천성 전투와 전선 재조정
3) 매소성 전투와 신라의 방어성공
3. 당군의 철수작전과 기벌포 전투
1) 기벌포의 위치 비정
2) 당의 백제고지 철수작전
제5장 나당전쟁의 결과와 의의
1. 당의 패배와 전후수습
1) 한반도 원정군의 귀국과 해체
2) 당의 大赦 실시와 순무사 파견
2. 신라의 승리요인과 의의
1) 토번 전선과 이근행의 위상
2) 신라의 군사 동원 능력
3) 신라의 군사전략과 그 의의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