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삶 속에서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함양해야 할 실제적인 능력, 즉 개인의 감정, 사고, 및 행동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생활역량의 개념과 구조를 구체화였다.
목차
제1장 청소년과 생활역량
1. 청소년기 생활역량의 필요성
2. 연구 절차
제2장 생활역량 관련 개념 탐색
1. 역량
1) 역량의 도입배경
2) 역량의 의미
3) 역량의 성격
4) 역량의 하위 개념
5) 역량과 청소년 생활역량의 관계
2. 사회적 역량
1) 사회적 역량의 도입배경
2) 사회적 역량의 개념
3) 사회적 역량과 청소년 생활역량의 관계
3. 직업기초능력
1) 직업기초능력의 도입배경
2)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3)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4) 청소년의 직업기초능력
5) 직업기초능력과 청소년 생활역량의 관계
4. 생활기술
1) 생활기술의 도입배경
2) 생활기술의 개념
3) 생활기술의 영역
4) 생활기술과 청소년 생활역량의 관계
5. 청소년 생활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6. 요약
제3장 청소년 생활역량의 하위 역량 및 생활기술 탐색
1. 자기조절역량
1) 감정조절기술
2) 신체관리기술
3) 시간활용기술
4) 용돈관리기술
2. 자기개발역량
1) 창의성개발기술
2) 목표설정기술
3) 진로탐색기술
4) 의사결정기술
3. 학습역량
1) 과제해결기술
2) 정보활용기술
3) 학습태도기술
4. 대인관계역량
1) 의사소통기술
2) 인간관계기술
3) 갈등조절기술
4) 리더십 기술
5. 민주시민역량
1) 생활예절기술
2) 공동체참여기술
6. 문제상황대처역량
1) 매체중독대처기술
2) 유해환경대처기술
제4장 검사 개발 과정
1. 예비검사 실시
1) 연구 대상
2) 예비검사 양호도 분석
3) 문항양호도 분석
2. 본검사 실시
1) 연구 대상
2) 본검사 양호도 분석
3) 문항양호도 분석
제5장 청소년 생활역량진단검사
1. 청소년 생활역량모델
2. 검사 구성
1) 자기조절역량
2) 자기개발역량
3) 학습역량
4) 대인관계역량
5) 민주시민역량
6) 문제상황대처역량
3. 신뢰도 및 타당도
4. 생활역량 및 생활기술 간 상관관계 분석
제6장 청소년 생활역량 실태분석
1. 전체 집단의 생활역량 분석
2. 성별 생활역량 분석
3. 학교급별 생활역량 분석
제7장 청소년 생활역량모델 검증
1. 구조방정식모형
1) 구조방정식모형의 의미
2) 구조방정식모형의 절차
2. 개념모형 개발
3. 측정모형의 검증
4. 구조모형의 검증
5. 적합도지수 검증
제8장 요약 및 논의
1. 요약
2.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청소년 생활역량진단검사: 예비검사
2. 청소년 생활역량진단검사: 본검사
3. 청소년 생활역량진단검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