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유리창의 공간 의미 북경 유리창과 조선의 문화 변화 / 이홍식 1. 머리말 2. 북경의 시장과 유리창의 풍경 3. 유리창의 시장과 연행사의 시선 4. 유리창 시장과 조선후기의 문화 변화 5. 맺음말 홍대용의 눈에 비친 북경 유리창 / 박성순 1. 머리말 2. 시장의 매혹, 중화의 학인으로서의 자기 형성 3. 시장과 극장, 욕망과 이욕의 교환 4. 시장의 윤리, 삶의 유용성의 교환 5. 맺음말 북경 유리창 그림과 한국 고문헌 / 박현규 1. 머리말 2. 숭실대 소장본 《연행도》중 <유리창> 3. 유리창 서사에 유통된 한국관련 고문헌 4. 맺음말
제2부 유리창의 서점가 연행 기록을 통해본 18~19세기 북경 유리창 서점가 / 정민 1. 머리말 2. 「유리창서사기」로 본 유리창 서점 현황 3. 연행 기록 속의 유리창 서점 관련 내용 4. 맺음말 조선 연행사신과 18세기 북경 유리창 / 왕쩐중 1. 머리말 2. 18세기 조선관 관금官禁제도의 변화 3. 연행사가 기록한 18세기 유리창 4. 유리창과 중한 문화 교류 5. 맺음말 조선의 중국 서적 유입 양상과 그 의미 -서반序班과 유리창의 존재를 중심으로 / 박수밀 1. 머리말 2. 조선의 중국 서적 구입 양상과 추이 3. 청의 등장과 서반의 독점 거래 4. 유리창의 등장과 서적 구입의 급증 5. 금서의 도전과 서적 구입의 의미 6. 맺음말
제3부 유리창의 교류활동과 공연문화 북경 유리창과 지식인 교류의 세 층위 / 박수밀 1. 머리말 2. 유리창이라는 공간 3. 유리창에서의 지식인 교류 양상 4. 지기를 넘어 형재애로 5. 맺음말 박제가 삶의 마음속 출로出路, 연경燕京의 우정 / 이승수 1. 머리말 2. 차이와 경계를 뛰어넘은 아름다운 우정 3. 여기 모순과 부조리의 대안對岸, 청·연경·유리창 4. 불화의 증폭과 결핍감의 팽배 속 1790년 5. 불완전한 우정의 성립과 그 안의 불편한 진실들 6. 한여름 밤의 꿈과 그대로 남은 현실 북경 유리창과 공연 문화 / 이홍식 1. 머리말 2. 청대 민간 연희의 발달과 유리창 3. 유리창에서 공연된 민간 연희 4. 민간 연희와 연행사의 시선 5. 맺음말 시로 형상화된 청대 북경의 마술 공연 -김진수의 「환희연」 이십팔수 / 임준철 1. 머리말 2. 연행록의 환희산문과 환희시, 그리고 김진수의 「환희연」 이십팔수 3. 「환희연」 이십팔수에 형상화된 청대 북경의 환술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