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대계연구 남북합의통일 마스터플랜' 4권. 본 책은 사회주의체제 전환 사례를 분석·평가하고 한국 주도의 점진적 합의통일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 주도의 점진적 합의통일이란 우선 평화적이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중심이며, 한국 국민이 주도하는 형태의 통일이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내용
Ⅱ.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경제발전과 국가지위 향상 1. 문제 제기 2. 개혁·개방의 배경 3. 개혁·개방의 대내적 전개와 성과 4. 개혁·개방 이후 대외전략과 국제적 지위 향상 5.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
Ⅲ. 베트남 개혁·개방에 따른 경제·사회의 발전상 연구 1. 문제 제기 2. 베트남 개혁·개방정책의 특징 및 추진과정 3. 정치·사회적 질서의 변화와 성과 4. 경제부문의 변화와 발전상 5. 베트남의 극복과제 6.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
Ⅳ. 중동부 유럽 국가들의 사회주의 체제 전환에 따른 발전상 : 폴란드, 루마니아 및 헝가리 1. 폴란드 체제전환 이후의 발전상 연구 2. 헝가리 체제전환 이후의 발전상 연구 3. 루마니아 공산정권 붕괴와 체제전환 발전상 실태
Ⅴ. 결론 1. 점진적 합의통일 추구 2.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대재앙, 통일 : 독일 통일로부터의 교훈2006 / 우베 뮐러 지음 ; 이봉기 옮김 / 문학세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