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서문
저자서문
제1부 문제의 개괄
제1장 서론: 국제정치와 안보
현실주의 시각
■ 용어와 개념: 몇 가지 기본 개념
협력에 있어서 문제
안보의 수준
체제안보
국가안보
사회안보
세 가지 수준의 안보 사이의 긴장
■ 사례와 배경: 이라크 전쟁
안보딜레마와 안보 추구에 있어서 딜레마
결론
제2장 국제정치와 전쟁
전쟁의 원인
세가지 수준에서의 전쟁에 대한 인식
■ 사례와 배경: 19세기 프로이센 전쟁
국가안보 및 사회안보에 대한 영향
체제안보에 대한 영향
결론
제2부 전략적 구조적 해결방안
제3장 적절한 세력분산
평화 및 안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
적절한 세력분산의 전략
■ 용어와 개념: 이것은 전략인가?
우세에 의한 평화
균형을 통한 평화
적절한 국내 세력분산의 창출
우세
균형
세력분산 전략은 효과 있나?
결론
체제안보
국가안보
사회안보
종합평가
제4장 값싼 승리의 추구
값싼 승리 전략의 요소
모든 상황에서 엄청난 군사적 우위
전략적 기습
군대의 신속한 동원과 사용
상대방의 고립화
견고한 방어 구축
20세기 값싼 승리 전략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냉전 및 탈냉전시대
값싼 승리 전략의 매력
결론
제5장 억지와 군비통제
억지의 기본요소
■ 용어와 개념: 억지와 군비통제
신뢰성 문제
안정성 문제
억지는 작동하는가?
억지전략의 매력
핵억지의 실제
■ 용어과 개념: 대량살상무기
군비통제와 군축
군비통제
군비축소
결론
핵억지
군비통제
군비축소
최종평가
제6장 강대국 협조체제
협조체제의 주요 요소
강대국 협조체제 전략의 실제
유럽협조체제
양차 세계대전 사이 기간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및 냉전시대의 협조체제 시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탈냉전시대의 또 다른 시도
■ 용어와 개념: 테러리즘
결론
제7장 윌슨의 집단안보체제
주요 요소
신뢰성과 안전성
윌슨 집단안보체제의 실제
국제연맹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결론
세 가지 수준의 안보
최종평가
제8장 복합적 다자주의와 통합
복합적 다자주의
복합적 다자주의의 실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바르샤바조약기구(The Warsaw Pact)
아세안(ASEAN)
오늘날의 동유럽
통합
유럽연합
결론
복합적 다자주의
통합
최종평가
제3부 전술적 실천적 해결방안
제9장 협상과 조정
협상
과정으로서 협상
정치로서의 협상
협상과 문화
■ 사례와 배경: 협상의 문화적 측면
조정
조정 활동
조정 실행자
일반적 특징 및 원칙
■ 사례와 배경: 중국-대만 분쟁
결론
실적
세 가지 수준의 안보
제10장 평화유지
누가 평화유지활동을 수행하는가?
평화유지활동의 전통적 원칙
평화유지활동 경험의 증가
■ 용어와 개념: 인권
오늘날의 일반적 규칙
결론
평가
세 가지 수준
제11장 평화강제와 평화부과
평화강제와 평화부과의 주요 구성요소
누가, 어디서, 왜?
정당성
평화강제와 평화부과의 실제
평화강제와 평화부과의 사용에 대한 설명
장기적 안보불안과 분할
결론
체제안보
국가안보
사회안보
제12장 평화구축
평화구축의 주요 요소
누가 무엇을 하는가?
정치차원
안보차원
■ 사례와 배경: 콩고의 폭력사태
경제부문
평화구축의 사례
캄보디아
■ 사례와 배경: 수단과 수단의 다르푸르 지역
엘살바도르
보스니아
이라크
결론
체제안보
국가안보
사회안보
제4부 결론
13장 결론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번역자 및 감수자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