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다시 내면서
1. 판소리와 풍속화, 닮은 예술세계의 배경
문예 부흥의 첨병, 판소리와 풍속화
문예의식과 예술적 심미안의 변화
중인 계층의 대두와 그들의 문화 역학적 기능
군주의 문예 숭상과 실천 의지
유락 풍조와 호사 취미의 발흥
새로운 현실안과 미의식을 담은 판소리의 등장
풍속을 재현하고 역동적인 시대상을 포착한 풍속화
2. 광대와 화공의 성격 및 그들의 패트런
광대와 화공의 인적 구성과 성격적 배경
국창에서 또랑광대까지
문인화가, 도화서 화원, 유랑화가
광대와 화공의 패트런, 그들의 예술적 영향
패트런으로서의 임금
패트런으로서의 양반 사대부
패트런으로서의 중인
패트런으로서의 서민
광대와 화공의 지향의식
광대의 지향의식
화원의 지향의식
3. 판소리와 풍속화의 구조적 상동성
하나의 대상을 여러 관점에서 들여다보기
판소리에서 여러 목소리들의 상호침투 현상
회화에서의 액자 내부 시점과 액자 외부 시점의 혼합
자아의식이 성숙되고 각자의 목소리가 표출되던 시대
공식적이고 유형화된 표현을 반복하기
공식화된 판소리 더늠의 확산적 전승
회화에서의 포뮬라와 확대 재생산 방식
전통 정서가 강조되고 대량 생산이 요구된 시대
클로즈업하여 세밀하게 묘사하기
판소리에서의 대상에 대한 묘사의 극대화
회화에서의 클로즈업과 역동적인 선의 강조
사실주의 정신과 역동적인 세계인식이 고조된 시대
우스꽝스럽게 희화화하여 표현하기
판소리 공연의 흥미를 위한 골계적 요소들
화면상 인물의 회화화된 표정을 통한 풍자 미학
비판 의식과 골계 정신이 융합된 서민의식이 개화된 시대
성적 표현을 자유분방하게 노출하기
판소리에서의 대담하고 솔직한 성적 표현
춘의도에서의 색정의 진솔한 표출
유교적 도덕 관념의 허구성이 드러나던 시대
음란한 장면에 엿보는 시선 장착하기
‘거동보소’라는 엿보는 시선에 담겨 있는 윤리적 갈등
‘단오풍정’에서 엿보는 시선을 통한 윤리적 책임의 전가
재현 윤리적 금기망이 은근히 작동하던 시대
4. 판소리와 풍속화에서의 시간과 공간의 성격
판소리와 풍속화에 나타나는 시간의 성격
역동적으로 흐르는 세속적 욕망의 시간
질량감이 느껴지는 역사 현실의 시간
원심적으로 확산되는 개인의 자유분방한 시간
판소리와 풍속화에 나타나는 공간의 성격
다양한 인물군상이 살아 숨 쉬는 일상 공간
물질적인 공간 및 은밀한 애욕의 공간
클로즈업으로 설정되는 근거리 내적 공간
5. 풍속화를 닮은 <춘향전>
<춘향전>의 회화성을 강화하는 담화 지표들
확대 사용되는 진술 방식으로서의 묘사
참신하고 강렬한 시각소의 어휘들
구체적인 이미지를 환기하는 비유
시지각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시각 매개어
<춘향전>에 나타나는 당대의 부벽도화 취향
사벽도 사설과 고사인물도
춘향 집 당도 사설과 벽사화
<춘향전>과 풍속화 사이의 상상력의 교류
춘흥에 젖은 청춘남녀와 춘의도들
춘향 집 안팎 풍경과 장식 민화들
행차·연회 장면과 궁정 기록화들
회화성의 시대적 의미
회화성의 강화와 그 인식론적 배경
회화성과 당대인들의 지각 영역의 관계
글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