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와 유교의 교육ㆍ철학 사상의 비교연구를 통해 교육이 인간의 참된 성장과 우주적 생명 공동체의 안녕을 위하는 본질을 회복하고, 나아가 범 생태적인 위기에 처한 우리 삶에 새 길을 열어줄 수 있는 생물권 정치학 시대를 열어 나가는 비전들을 제시한다.
목차
머리말
서장 청년 정의운동
제1부 한나 아렌트와 교육 제1장 한나 아렌트의 라헬 반하겐과 한국 사회에서의 졸부의식과 교육적 속물주의 제2장 인간의 조건과 공공성으로의 교육 제3장 한나 아렌트 교육사상에서의 전통과 현대 제4장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의 교육학과 왕양명의 치량지의 교육사상
제2부 유교 사상의 새 지평과 교육 제1장 성(性)과 가족, 그리고 한국 교육의 미래 제2장 세계화 시대 한국 교육의 무한경쟁주의 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 제3장 탈학교 사회와 한국 생물(生物)여성 영성의 교육 제4장 어떻게 행위하고 희락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를 수 있을 것인가? 제5장 어떻게 우리의 대동(大同)사회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참고문헌 주석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급진자유주의 정치철학2009 / 윤평중 지음 / 아카넷
참여하는 시민 즐거운 정치 : 청소년을 위한 정치 교과서2005 / 이남석 지음 / 책세상
참여하는 시민 즐거운 정치 : 청소년을 위한 정치 교과서2005 / 이남석 지음 / 책세상
차이의 정치 : 이제 소수를 위하여2003 / 지음: 이남석 / 책세상
협력형 통치 : 원효 율곡 함석헌 김구를 중심으로2006 / 이문영 지음 / 열린책들
중국 최고 정치지도자들의 리더십 : 마오쩌둥에서 후진타오까지2011 / 이승익 저 / 가디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