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 한국근대사상사 탐구
  • 한국근대사상사 탐구

    발행연도 - 2012 / 양은용 / 논형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10580
    • ISBN 9788963571300
    • 형태 352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한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근대사상의 전개를 14인의 인물에서 찾았다. 대부분 충분히 해명되지 않은 사상가들이며, 특히 저술 및 자료를 발굴 해명하는 입장에서 탐구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한국근대사상사의 지평을 새롭게 열어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서 문
오주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도교관
1. 서언 / 2. 오주의 학문과 󰡔오주연문장전산고󰡕 / 3.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도교관련 변증설
4. 오주의 도교관과 후래적 영향 / 5. 결어

농려 강헌규의 󰡔주역참동계연설󰡕과 조선도교
1. 서언 / 2. 󰡔연설󰡕의 체제와 찬자문제 / 3. 󰡔연설󰡕과 조선도교 / 4. 결어

범해 각안의 차선사상
1. 서언 / 2. 생애와 저술 / 3. 차선사상의 구조와 특징 / 4. 결어

경농 권중현의 󰡔공과신격󰡕과 도교윤리
1. 서언 / 2. 경농의 󰡔공과신격󰡕 찬술 / 3. 󰡔공과신격󰡕과 순양 여동빈 󰡔공과격󰡕
4. 결어: 󰡔공과신격󰡕의 도교윤리

수헌 양치유 󰡔수헌시고󰡕의 시세계
1. 서언: 수헌 양치유의 가계 / 2. 노사 기정진 문하의 수업
3. 일신재와 여순팔로 / 4. 결어: 󰡔수헌시고󰡕의 성립과 구성



광화 김치인 󰡔광화집󰡕의 남학연원
1. 서언 / 2. 광화의 남학연원과 관련 자료 / 3. 광화의 수련과 오방불교 창립
4. 󰡔광화집󰡕의 구조와 내용 / 5. 결어

간정 이능화 󰡔조선불교통사󰡕의 한국불교관
1. 서언 / 2. 간정의 불교연구와 그 업적 / 3. 󰡔조선불교통사󰡕와 한국불교관 / 4. 결어

퇴경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과 불교개혁사상
1. 서언 / 2. 권상로의 생애와 법계 / 3. 󰡔조선불교개혁론󰡕의 구성 / 4. 권상로의 불교개혁사상 / 5. 결어

청음 이상호 󰡔증산천사공사기󰡕의 증산교운동
1. 서언 / 2. 증산 강일순의 종교활동과 증산교 / 3. 청음 이상호의 󰡔증산천사공사기󰡕 찬술
4. 󰡔증산천사공사기󰡕의 구조와 내용 / 5. 결어

소태산 박중빈의 개벽사상과 사회적 실천
1. 서언 / 2. 소태산의 대각과 구세경륜 / 3. 정신개벽의 교리적 구조
4. 소태산의 종교관과 대화원리 / 5. 결어

현공 윤주일의 유필문건과 불교사상
1. 서언: 개혁불교와 현공 / 2. 현공의 행장과 법맥 / 3. 유필문건과 그 성격 / 4. 결어: 현공의 불교사상
부록 1: 현공 윤주일 관련 문헌목록 / 부록 2: 현공 윤주일 연보

수산 정인표의 󰡔교리정전󰡕과 미륵불교운동
1. 서언 / 2. 수산의 종교활동과 미륵불교 / 3. 󰡔교리정전󰡕의 구성과 교리사상 / 4. 결어

이영호 󰡔교조약사󰡕의 증산관
1. 서언 / 2. 이영호의 󰡔교조약사󰡕 편찬 / 3. 󰡔교조약사󰡕의 구조 / 4. 󰡔교조약사󰡕의 교의적 성격
5. 결어 / 부록: 󰡔교조약사󰡕(현대문)

정산 송규의 유·불·도 삼교관
1. 서언 / 2. 정산의 학문기반과 전통사상 / 3. 소태산의 삼교관과 그 영향
4. 정산 삼교관의 전개 / 5. 결어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화로 철학하기 : 사상사부터 예술철학까지 한국 철학의 현재와 미래를 말하다 대화로 철학하기 : 사상사부터 예술철학까지 한국 철학의 현재와 미래를 말하다 2023 / 지음: 김성민 [외] / 동녘
다석 류영모 : 우리말과 우리글로 철학한 큰 사상가 다석 류영모 : 우리말과 우리글로 철학한 큰 사상가 2009 / 박영호 지음 / 두레
선 ·생명·조화 선 ·생명·조화 2004 / 민영현 지음 / 모시는 사람들
평화의 여정으로 본 한국문화 : 세계평화를 위한 한국인의 지혜 평화의 여정으로 본 한국문화 : 세계평화를 위한 한국인의 지혜 2016 / 지음: 박정진 / 행복한에너지
한국 근대사상사 : 서양의 근대, 동아시아 근대, 한국의 근대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한국 근대사상사 : 서양의 근대, 동아시아 근대, 한국의 근대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2016 / 지음: 박정심 / 천년의상상
麗末鮮初 成理學의 受容과 學脈 麗末鮮初 成理學의 受容과 學脈 2004 / 申千湜 著 / 景仁文化社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 2012 / 김태창 구술 ; 야규 마코토 기록 ; 정지욱 옮김 / 모시는사람들
한국근대사상사 탐구 한국근대사상사 탐구 2012 / 양은용 / 논형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 지구인문학의 발견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 지구인문학의 발견 2023 / 지음: 허남진 [외] / 모시는사람들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선사시대 고인돌의 성좌에 새겨진 한국의 고대철학  : 한국 고대철학의 재발견 선사시대 고인돌의 성좌에 새겨진 한국의 고대철학 : 한국 고대철학의 재발견 2018 / 지음: 윤병렬 / 예문서원
한국 사상의 방향  :  성찰과 전망 한국 사상의 방향 : 성찰과 전망 2011 / 이동준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  : 한국의 정신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 : 한국의 정신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2016 / 지음: 이승헌,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이만열) / 한문화
고전서당  : 옛 성현들의 삶과 글 톺아보기 고전서당 : 옛 성현들의 삶과 글 톺아보기 2013 / 이은봉 지음 / 동녘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한민국철학사 대한민국철학사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사랑하지 말자 사랑하지 말자 2013 / 김용옥 지음 / 통나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2013 / 조남호 지음 / 김영사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2018 / 지음: 김형찬 / 바다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2015 / 금장태 지음 / 바오로딸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2012 / 함규진 지음 / 한길사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2013 / 정약용 지음 ; 노만수 엮어옮김 / 앨피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2017 / 지음: 한정주 / 다산북스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2019 / 지음: 이황, 옮김: 이광호 / 홍익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2015 / 편: 한국철학회 / 철학과 현실사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외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2017 / 지음: 오구라 기조 ; 옮김: 조성환 / 모시는사람들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2003 / 한상우 지음 / 현암사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2005 / 정약용 지음 ; 장승희 풀어씀 / 풀빛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2010 / 김용헌 지음 / 웅진씽크빅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