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법흥왕부터 진덕(여)왕에 이르기까지 신라 중고기 정치.사회의 전개과정과 정치세력의 동향과 제도정비, 수.당제국과의 교섭, 유.불의 확산과 접합, 7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여왕 등장과 그 배경에 관한 것들을 주로 다룬다.
목차
책 머리에
Ⅰ. 서론
Ⅱ. 진흥왕 즉위에 대한 몇 가지 문제
1. 머리말
2. 즉위 연령에 대한 검토
3. 즉위초의 섭정 문제
4. 즉위초의 정국 운영과 주도세력
5. 맺음말
Ⅲ. 진흥왕대 우륵 망명의 사회 정치적 의미
1. 머리말
2. 우륵 망명을 통해서 본 6세기 중엽의 국제사회와 신라의 대응
3. 신라 음악의 전개과정
4. 맺음말
Ⅳ. 진평왕의 즉위 배경과 政局推移
1. 머리말
2. 진흥왕 말기의 정국 동향
3. 진평왕의 등장과 정치구도의 변화
4. 진평황의 지지세력
5. 맺음말
Ⅴ. 진평왕대의 대중교섭
1. 머리말
2. 대중교섭의 추진 배경
3. 對隋·唐교섭의 전개와 교역 내용
4. 맺음말
Ⅵ. 중고기 유교의 확산과 儒·佛의 접합
1. 머리말
2. 유교 수용의 사회적 상황
3. 유교사상의 확산 및 의례의 시행
4. 중고기 유·불의 상호관계
5. 맺음말
Ⅶ. 진평왕 말기의 정국과 선덕왕의 즉위
1. 머리말
2. 진평왕 43년 이후의 정치변동과 그 의미
3. 여왕 즉위의 논리
4. 맺음말
Ⅷ. 결론
보론 Ⅰ 동아시아 역사 속에서의 정치와 신화
1. 머리말
2. 전통시대의 왕권과 신화
3. 근대의 국가주의와 신화
4. 맺음말
보론 Ⅱ 신화와 일제 식민주의 교육
1. 머리말
2. 초등교육의 확대와 신화
3. 전쟁시기의 신화 교육
4. 신화의 유통과 소비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