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철학자 아빠가 아이와 지내며 겪은 다양한 에피소드를 소재로 인간 행동과 사고의 근원을 사색하고, 인간성의 본질을 성찰하며, 스스로의 내면에 웅크려 있는 왜소한 자신의 모습을 깨닫는 과정이 그려져 있다.
목차
프롤로그_아빠는 불안하다
1. ‘싫어, 싫어’ 노래하는 아이
‘예스맨’에서 ‘반항아’로
아이의 모든 언어는 ‘싫어, 싫어’로 통한다
규칙과 현실 사이에서
누구를 위한 규칙인가
아빠가 미안하다
2. 아이가 집에 없는 날
분리 불안이라는 것
‘부모형 분리 불안’
‘내 것’을 잃을 것 같은 느낌
“부모는 육신의 부모이자 아이를 맡은 자에 불과하다”
3. 중국집 치킨 사건의 전말
중국집에서 치킨을 요구하는 아이
아름다운 복종은 가능한가
어머니, 기계
기계를 만족시키는 기계
자유로운 아빠가 아이도 자유롭게 한다
4. 아이와 함께 피아노 두들겨 패기
아이와 노는 게 말처럼 쉬운가
호이징하의 일침, “모든 것이 노는 것”
재미는 필수, 효과는 부대
세상에서 가장 스펙터클한 게임
5. 낙동강변에서 춤을, 토이저러스에서 울음을
아이와 ‘공간’을 방랑한다는 것
프로이트의 ‘여기-저기’ 게임
타인의 욕망은 어떻게 나의 욕망이 되는가
아이만의 ‘볼레로’를 위하여
6. 아이가 ‘언어라는 아름다운 사슬’에 묶일 때
말이 빠른 아이가 똑똑하다?
아이의 언어생활 : 랑그와 파롤
시인은 태어나는가?
아이여, 언어 제국의 난민으로 살라
7. 마더(mother)가 될 것인가, ‘마더(murder)’가 될 것인가
두 유형의 엄마들
육아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아우구스티누스의 경우
사무엘 베케트의 경우
자기화와 동일시 사이에서
마더(mother) vs ‘마더(murder)’
8. ‘싫어, 싫어’에서 ‘안아, 안아’로
독립심이라는 신화
‘안아, 안아’는 아직 덜 안겼다는 신호
엄마의 품 vs 아빠의 품
품의 박탈 사회
9. 칼에 베여 손금이 하나 더 생기면 운명도 바뀌나
상처와 흠집과 걱정
아이폰은 왜 그렇게 흠집이 잘 날까?
예수의 옆구리 상처가 주는 교훈
아이의 상처를 관용하고 견디는 부모
10. 신난다, 신난다!
딱히 신날 게 없는데도 신난다는 아이
고흐의 그림에서도 감동을 못 느끼는 아빠
새로움이란 무엇인가
‘판단 중지’가 경이를 체험하게 한다
11. 우리 아이가 망가뜨렸으니 물어내라고?
책임 전가
그래도 아빠는 억울하다
책임질 사람이 사라진 이유
숙명적 사랑의 책임
아이는 자신의 존재 자체로 책임진다
12. 두 할머니께 부치는 반성문
외할머니 품이 더 친숙한 이유
할머니들과 아빠의 육아 신경전
아이에게는 스스로 융합하는 힘이 있다
할머니들께 부치는 반성문
13. 아이의 폭력에는 이유가 있다!
데카르트의 아기들
아이는 꼬마 실험가
무반응, 또 하나의 폭력
예술로 승화된 폭력들
신적 폭력으로 신화적 폭력 중지시키기
14. 말만 많은 아이, 말이 남다른 아이
모든 것을 기억하지만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는 남자
헬렌 켈러가 언어를 배운 방법
아이들이 언어를 습득하는 순서
조기 영어 교육의 허실
기다렸다가 정확히 반응하라
아이마다 고유한 언어 리듬이 있다
15. 뉴욕으로 가는 비행
너와 나를 나누는 출국 심사
뉴욕행 비행기, 아이는 없다
아이라도 수상하다?
드디어, 엄마를 만나다
16. 헬로 키티 마니아가 사는 법
헬로 키티, 할렐루야
신앙이 된 키티
키티 목욕하는 날에 있었던 일
키티 존재론
우스워 보인다고 업신여기지 마라
17. 아래층이 수상하다
아랫집은 왜 이사 갔을까?
층간 소음의 에티카
우정의 윤리가 필요하다
18. TV에 홀린 아이, 혹은 부모
TV가 나쁜 100가지 이유 중 4가지
영상통화와 영상 메시지는 어떤
책임을 회피하게 하는 구조적 장치
사실과 사실 아닌 것 사이
안녕! 뽀로로, 폴리, 타요…
19. 이야기에 갇힌 아이, 이야기로 해방되는 아이
‘할머니’의 이야기
노예의 이야기, 이야기의 노예
이야기는 혁명이다
아빠의 이야기, 아이의 이야기
20. 엄마를 기다리는 시간, 2시
첫 번째 헤어짐
두 번째 헤어짐
세 번째 헤어짐
‘2시’에서 ‘열 밤’으로
선 vs 원
시간관을 넘어 시간 지평으로
폭과 서사의 문제
간절한 기다림
21. 눈 깜박임, 틱, 그리고 스트레스
아, 나는 얼마나 나쁜 아빠인가
엄마! 어디 가?
스트레스 유발 사회
좌뇌-우뇌의 불균형
아이의 스트레스 해소에 둔감한 사회
22. 아이의 가위 바위 보
아버지와의 권투 시합
지는 법을 배우지 못한 탓
‘지더라도 잘한 것’의 가능성
은폐된 미래 혹은 은폐시킨 미래
‘적극적 패배자’ 예수의 급진성
불가능성의 가능성을 위해, “번개 파워!”
에필로그 일출봉 오르는 길
부록
1. 아빠와 아들의 변증법
2. 아빠와 엄마가 뽑은 ‘생각하는 육아 추천 도서’ 베스트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