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니체와 불교 = Nietzsche & Buddhism
발행연도 - 2013 / 박찬국 지음 / 씨·아이·알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06770
-
ISBN
9788997776641
-
형태
340p. 23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서양철학
>
독일, 오스트리아철학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신화/종교학
>
종교학
책소개
서양철학과 불교철학을 비교하는 것을 주요한 철학적 과제 중의 하나로 삼고 있는 박찬국 저자의 신작. 니체와 불교 사이의 근친성은 양자가 비이원론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뿐 아니라 양자의 문제의식에서도 잘 나타난다.
목차
서문
Ⅰ. 서론
1. 니체와 불교의 유사성
2. 니체와 불교의 차이
3. 국내외의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본 연구의 방향과 의의
4. 이 글의 내용에 대한 소개
5. 서론을 맺으면서
Ⅱ. 니체와 불교의 공통된 문제 의식 : 고통과 염세주의의 극복
1. 니체의 철학과 염세주의의 극복
(1) 초기 니체의 철학적 문제의식
1)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
2) 초기 니체의 철학적 문제의식
3) 초기 니체의 불교에 대한 평가
(2) 후기 니체와 힘에의 의지의 철학
1) 힘에의 의지와 행복
2) 이원론적인 금욕주의와 무를 열망하는 의식
3) 후기 니체의 불교 비판
4) 힘에의 의지를 건강하면서도 기품 있게 실현하는 방식
5) 니체 철학의 지향점
6) 힘에의 의지와 염세주의의 극복
2. 불교와 고통과 염세주의의 극복
(1) 불교의 문제의식
(2) 고통의 원인으로서의 허구적인 자아에 대한 집착
(3) 고통의 극복
Ⅲ. 니체의 불교 해석과 평가
1. 위생법으로서의 불교
2. 기독교와 불교의 대비
3. 진리와 객관성에 대한 불교와 기독교의 입장 차이
4. 위생법으로서의 니체의 철학
5. 예수와 부처의 동일성
6. 니체가 불교에서 미래철학의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보는 연구경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Ⅳ. 니체의 불교 해석과 평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고통의 문제를 중심으로
1. 세 번째 주장의 정당화 : 불교 역시 ‘위대한 고통’을 감수할 것을 요구한다.
2. 두 번째 주장의 정당화 : 불교는 모든 고통이 아니라 갈애와 집착에서 비롯되는 고통만을 제거하고 부정하려고 한다.
3. 첫 번째 주장의 정당화 : 불교는 삶과 현실 자체가 아니라 갈애와 집착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는 왜곡된 삶과 현실만을 부정하려고 한다.
Ⅴ. 니체와 불교의 사회사상과 각각이 지향하는 인간상과 덕들의 차이
1. 니체와 불교의 사회사상의 차이
2. 니체와 불교가 지향하는 인간상과 덕들의 차이
(1) 불교가 지향하는 인간상과 덕에 대한 니체의 견해의 비판적인 검토
(2) 니체와 불교가 지향하는 인간상의 차이
(3) 니체와 불교가 지향하는 덕들의 차이
(4) 힘에의 의지를 강화할 것인가 갈애를 포기할 것인가
3.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니체와 불교의 입장 차이
Ⅵ. 영원회귀와 열반
1. 니체의 열반 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극단적인 니힐리즘과 그것의 극복으로서의 영원회귀사상
(1) 실험적인 사상으로서의 영원회귀사상
(2) 영원회귀사상과 초인
(3) 유희로서의 세계
(4) 창조적인 정신으로서의 아이의 정신
3. 불교의 열반사상
(1) 윤회설과 불교의 근본정신
(2) 영원회귀사상과 열반사상의 유사성
4. 영원회귀사상과 열반사상의 차이
(1) 니힐리즘의 극복방식에서의 차이
(2) 세계관의 차이
5. 이 장을 맺으면서
Ⅶ. 자기극복에 대한 니체와 불교의 사상에서 보이는 유사성과 차이
1. 자기극복에 대한 니체의 사상
(1) 자기극복의 병적인 형태로서의 금욕주의
(2) 자유와 주체 개념에 대한 니체의 사상
1) 전통적인 자유의지 개념에 대한 비판
2) 니체의 자유개념
3) 정념의 지배와 승화
4) 주체에 대한 니체의 새로운 해석
2. 불교와 자기극복
(1) 불교와 자기극복
(2) 의식, 말나식, 아뢰야식
(3) 전식득지(轉識得智)로서의 자기극복
(4) 마음의 정화로서의 자기극복
3. 자기극복에 대한 니체와 불교의 사상에서 보이는 유사성과 차이
Ⅷ. 니체의 종교관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프롬의 종교관과의 비교를 통해서
1. 종교의 전개과정에 대한 프롬의 견해 : 기독교를 중심으로
2. 프롬과 니체의 견해 비교
3. 로마의 정신인가 예수와 부처의 정신인가
(1) 기독교 신비주의의 정신
(2) 그리스·로마문명에 대한 프롬의 견해
Ⅸ. 맺으면서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4 |
30대 | 7 |
40대 | 2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2 |
2018년 | 0 |
2019년 | 4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