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계에서 사유한 한국소설 = Korean novel analyzed on the borderline
발행연도 - 2013 / 홍혜원 지음 / 케포이북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08146
-
ISBN
9788994519364
-
형태
302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소설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한국문학의 이해
책소개
새로운 지점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낯설게' 볼 때 우리는 새로운 풍경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책은 이 '낯선 시각'을 소설을 향해 던진다. 1부 '탈식민의 경계에서', 2부 '젠더의 경계에서', 3부 '대중성의 경계에서'로 구성되었다.
목차
1부│탈식민의 경계에서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과 탈식민주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고현학과 ‘응시’로서의 글쓰기
3. ‘부인disavowal’과 허구적 글쓰기
4. 나가며
일제 말기 소설과 탈식민성 ―한설야와 박태원의 경우
1. 들어가는 말
2. 분열된 주체의 적응과 저항-한설야의 경우
3. 분열된 주체의 모방과 응시-박태원의 경우
4. 나가는 말
남정현 소설과 탈식민주의 ―담화 전략과 여성 표상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담화의 소통구조와 단성성
3. 여성 이미지와 식민성
4. 나가며
2부│젠더의 경계에서
이광수 소설의 여성과 근대성
1. 이광수와 여성의식의 모순성
2. 여성상의 변모 과정과 그 의미
3. 여성의식의 모순성과 근대성
이태준 소설과 식민지 근대성 ―여성인물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훼손된 여성과 식민담론
3. 위대한 어머니와 민족담론
4. 나가며
여성 젠더의 포섭과 배제 ―일제 말기 한설야 소설과 신경증
1. 들어가며
2. 신경증과 분열적 주체
3. 모성적 어머니로의 동일시와 통합적 주체
4. 나가며
자전적 여성소설에 나타난 주체 구성과 글쓰기 ―김형경과 린바이의 소설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경험의 재구성과 여성 주체의 정립
3. 글쓰기의 기원과 서술전략
4. 나가며
3부│대중성의 경계에서
김교제 신소설의 대중성
1. 들어가며
2. 여성 인물의 이중성과 독자의 기대지평
3. 서사 구성 방식
4. 나가며
이광수의 『이차돈의 사』와 대중성
1. 들어가며
2. 역사소설과 대중지향성
3. 충정을 향한 비극적 열정
4. 관념적 사랑을 향한 감정의 과잉
5. 나가며
멜로드라마적 상상력과 도덕적 비학 ―현진건 장편소설의 경우
1. 들어가며
2. 대중소설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3. 도덕적 비학의 형상화
4. 나가며
김훈의 『칼의 노래』에 나타난 시점과 문체 양상
1. 들어가는 말
2. 1인칭 서술과 ‘나’의 이중성
3. 모순어법과 허무주의
4. 나오는 말
::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