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정보조직이란 무엇인가
1. 정보조직의 개념
2. 정보활동의 기원과 변천
3. 첩보ㆍ정보ㆍ국가정보의 차이
4. 정보관과 첩보원
제2장 한국정보조직의 생성과 변천
제3장 한국정보조직의 모태
1. 암행어사 제도
2. 비변사
제4장 대한제국 정보기구: 제국익문사
1. 제국익문사 설립 전후 국내외 정세
2. 제국익문사의 조직과 기능
제5장 임시정부 정보기구
1. 경무국
2. 연통부와 교통국
3. 임정 특무대
제6장 해방 직전 정보세력의 형성
1. 이승만과 미국 COI
2. 이범석과 OSS
3. 김일성과 소련 제88특별정찰여단
4. 김창룡과 관동군 헌병대
제7장 남북분단과 미소 정보기구의 유입
1. 독수리 팀의 국내진입 실패
2. 88여단의 북한지역 장악
3. KGB의 국내 진입
4. 미 정보기구의 남한 진출
제8장 해방공간의 정보기구
1. 대공정보 전선의 형성
2. 백의사와 양호단
3. 김구와 이승만의 사설 정보조직
4. 경찰 정보조직의 개편
제9장 정부수립 시기 국가정보기구 설립의 실패
1. 소련 팽창정책과 미국의 CIA 창설
2. 대한관찰부: 대한민국 최초 국가정보기구
3. 한국 CIC의 양성
4. 미 정보기관원 하우스먼과 '하리마오'그리고 위태커
제10장 북한 대남공작조직의 변천
1. 6ㆍ25 전쟁 전후
2. 4ㆍ19 혁명 및 5ㆍ16 정변 전후
3. 청와대 기습사건 전후
4. 김정일 세습체제 구축 이후
제11장 6ㆍ25 전후 군 정보기관의 성장
1. 육군본부 정보국
2. 국방부 제4국
3. 특무부대
4. 경찰정보조직의 전시체제화
제12장 4ㆍ19 전후 중앙정보조직의 설치
1. 경찰 정보조직의 부정선거 개입과 위축
2. 이후락과 79부대
제13장 5ㆍ16 후 중앙정보부의 창설과 변천
1. 김종필과 중앙정보부의 창설
2. 신군부 집권과 국가안전기획부
3. 문민정부 출범과 국가정보원
부록
광복군 특무대 편성계획
제국익문사비보장정
중앙정보연구위원회 규정
중앙정보부법
정보위원회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