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원시문명 시대의 자연숭배문화부터 시작하여, 상나라의 조상신 및 절대신, 그리고 강력한 종법제도와 봉건사상이 자리한 주나라 때의 ‘천(天)’ 사상과 ‘예(禮)’ ‘성(聖)’ ‘효(孝)’ ‘인(仁)’과 같은 유교를 대표하는 주요 가치의 원형을 되짚어 나간다.
목차
여는 말│유교는 어떤 상황 속에서 시작되었을까?
1장 유교문화의 기원을 어떻게 살펴보아야 할까?
2장 대자연과 조상신, 혼잡으로 존재하다
자연숭배, 그러나 또 하나의 선별
궁극적 절대신의 추구, 제(帝)
뒤섞인 조상신
3장 상족(商族)의 조상, 절대신이 되다
조갑과 제례 혁명
순혈주의와 조상신의 재분류
절대신 상제의 소멸
조상 제사의 우주론적 정비
남과 여, 그리고 조상신의 영역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정치
4장 주족(周族)의 조상, 정치의 중심에 서다
혈통 숭배의 계승
종법제도의 심층 구조
천(天)의 정치학
효(孝)와 통치술
예(禮)와 권력 관리
자(子)와 손(孫), 그리고 영원회귀
5장 주대 청동기에 인(仁)이 보이지 않다
인(仁)의 불편한 진실
인(仁)과 성(聖)의 표층과 심층
6장 유(儒)란 무엇인가?
신과 인간을 잇는 통혼자로서의 무(巫)
비를 부르는 특정 무(巫)로서의 유(儒)
군자(君子), 문화 권력으로서의 유(儒)
맺는 말│유교는 문화의 산물이다
주
고문자 관련 공구서 및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