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번역과 번안의 시대 = (The) age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발행연도 - 2011 / 지은이: 박진영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97764
-
ISBN
9788956265964
-
형태
546 p. 24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소설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한국문학의 이해
책소개
연세근대한국학총서 59권. 한국의 근대 소설은 번역과 번안을 통해 근대 한국인의 시대정신과 일상의 감각을 근대 한국어로 표현하고 향유하기 시작했다. 근대 초창기이자 식민지 시기 초입인 20세기 초반에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번역하고 번안했는가? 이 책은 ‘근대 소설’이라는 관념의 탄생을 둘러싸고 벌어진 복합적인 국면을 추적했다.
목차
책머리에: 근대의 바벨탑, 번역이라는 유령
일러두기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표와 의의
1) 근대소설사 연구의 시작
2) 번역 및 번안소설 연구의 가치
2. 연구 대상과 범위
1) 논의의 성격과 초점
2) 논의 전개의 방향
제2장 근대소설의 양식과 매체, 그리고 언어
1. 번역 및 번안소설사 연구의 좌표
1) 번역 및 번안의 태도와 방법
2) 매체 혁신과 근대소설의 모험
3) 언문일치와 ‘순 한글의 한국어 문장’이라는 것
2. 번역 및 번안소설과 근대문학의 언어
1) 소설이라는 번안어와 언어 경합
2) 문체 분할의 감각과 소설의 상상력
3) 신문 연재소설과 근대소설 언어의 비가역성
제3장 단행본 번역소설의 상상력
1. 단행본 소설 출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1) 단생본 소설의 출판 경향
2) 동양서원과 추리소설의 번역
2. 신문관과 세계문학의 관념
1) 문학 출판의 외연 확장과 역사적 성격
2) 세계문학 기획의 허실
3. 『불여귀』번역의 독자성과 번안 모형의 창안
1) 가테이쇼세츠와 부부라는 제도의 운명
2) 가정소설의 이념과 신문 연재소설의 모형
제4장 신문 연재 번안소설의 세 단계
1. 『매일신보』와 가정소설의 상상력
1) 신소설의 단명과 번안소설의 등장
2) 번안소설의 시대정신과 연애의 이념
2. 재번안의 방법론적 우위와 소설 유형의 다변화
1) 번안 경로의 일원화와 소설 유형
2) 번안소설의 역사적 상상력
3. 신문연재소설과 세계문학의 시대
1) 소설 번안의 다중성과 역사성
2) 양대 일간지 연재소설의 경쟁과 번안소설
제5장 결론
1. 번역 및 번안의 시대정신과 상상력
2. 한국 근대소설사의 안과 밖
참고문헌
표 찾아보기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