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문학의 위기와 종언을 넘어 문학의 영역을 문자와 지면에서 영상과 화면으로까지 확장하는 필자들의 명쾌한 해석과 논리는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싸인], [하얀거탑]에서 [다모], [대장금]에 이르기까지 익숙한 드라마가 문학연구자들에 의해 심도 있게 파헤쳐지는 가운데, 드라마는 일상에서 만나는 ‘문학’의 지경으로 다가온다.
목차
서문
제1부 일상을 재현하는 텔레비전 드라마 : 동시대극
텔레비전 드라마 〈굿바이 솔로〉 연구 / 백경선
1. 머리말
2. 다중스토리 구조 : 균형 있는 인물 창조
3. 추리극적 구조 : 짜임새 있고 농밀한 구성
4. 대중성을 획득하지 못한 요인
5. 맺음말
TV 드라마 〈하얀 거탑〉에 나타난 영상 미학과 각색의 의미 연구 / 박명진
1. 머리말
2. 문화번역으로서의 각색
3. 〈하얀 거탑〉의 영상 기법과 공간 이미지
4. 개인과 사회 또는 이상과 현실의 변증법
5. 맺음말
이경희 미니시리즈의 극작술 연구 / 김윤정
1. 머리말
2. 표면의 서사 : 낭만적 사랑의 서사
3. 이면의 서사 : 도덕교과서적 서사
4. 이경희의 비관적 세계 인식
5. 맺음말
텔레비전 드라마 〈싸인〉의 시작 방식과 연행성 / 주현식
1. 머리말
2. 1차 언술의 시작 : 첫 회의 시작과 생물적 몸 해부의 착수
3. 2차 언술의 시작 : 각 에피소드의 시작과 사회적 몸 해부의 착수
4. 3차 언술의 시작 : 후속 회의 시작과 시청자 시선 해부의 착수
5. 맺음말
추리의 서사와 인정투쟁의 드라마 / 권두현
1.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의 ‘지금, 여기’
2. 월경越境하는 대중문화의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3. 두 개의 전후戰後와 가족의 해체
4. 추리와 인정투쟁의 절합 혹은 브리콜라주
5. 동아시아 영상문화에서 동아시아 영상문학으로
제2부 역사를 사유하는 텔레비전 드라마 : 시대극
TV 드라마 〈주몽〉에 나타난 영웅신화의 형상화 방법 / 배선애
1. 머리말
2. 영웅신화 속 ‘주몽’의 현실적 형상화
3. 장르 혼용을 통한 신화의 TV 드라마 서사 구출
4. 맺음말 - 영웅신화를 호출한 대중과 TV 드라마의 결합
TV 드라마 〈대장금〉에 나타난 ‘가능성으로서의 역사’ 구현 방식 / 양근애
1. 새로운 역사 드라마의 지평과 〈대장금〉
2. ‘실마리 찾기’와 상상적 역사의 리얼리티
3. 음식 문화를 통한 사건의 생성과 해결
4. 행동하는 존재로서의 개인과 ‘정상적 예외’
5. ‘작은 역사들’의 형상화와 그 의미
HDTV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의 서사 기법 고찰 / 윤석진
1. 디지털 시대, TV 드라마의 존재 방식
2. 혼란의 시대가 잉태한 영웅 ‘일지매’ 서사
3. ‘액자 구조’와 ‘이야기꾼’을 활용한 서사 기법
4. 디지털 시대, TV 드라마의 새로운 위상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상 언어 / 박노현
1. 브랜드의 종말과 스토리의 부활
2. 이야기꾼, 살아남은 자의 슬픔
3. 교차와 평행, 발화發話하는 시공간
4. 카메라의 눈, 프레임의 재담才談
5. 영상 언어, 원시와 첨단의 통섭
TV 드라마 〈다모〉의 서술 방식과 재현 방식 연구 / 박미란
1. 머리말
2. 발견의 지연과 빠른 파국의 서사
3. 회상 장면을 통한 자기 고백적 기억의 재현
4. 시청각 이미지의 현전을 통한 사적 경험의 재활성화
5. 맺음말
제3부 웃음을 생산하는 텔레비전 드라마 : 시트콤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의 내러티브 분석 / 김태연
1. 시트콤 장르 개관 및 연구목적
2. 〈안녕, 프란체스카〉의 웃음 유발 방식
3. ‘가족 되기’의 내러티브로 인한 드라마 강화
4. 멪음말
높고 견고한 지붕을 향한 하이킥 / 한재연
1. 동어반복과 사후 확인을 넘어서
2. 〈지붕 뚫고 하이킥〉의 현상텍스트
3. 〈지붕 뚫고 하이킥〉의 생성텍스트
4. 높고 견고한 지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