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적 시각으로 본 예술의 의미. <종의 기원>의 학문적 방법론을 차용하여 인간 진화의 관점에서 문학과 예술을 재평가한다. 기존의 예술 기원론을 비판하면서, 예술은 진화에 의해 끊임없이 설계되고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
목차
옮긴이의 말 문명과 문화의 진화론 들어가며 진화론이 예술마저 설명할 수 있을까?
제1편 진화론으로 읽는 인간과 예술 1부 진화와 자연 1. 인간 본성은 있는가? 2. 살아남으려면 적응하라 3. 지능은 왜 진화하는가? 4. 집단에서 살아남기 2부 진화와 예술 5. 예술의 생물학적 뿌리 6. 생존을 위한 인지 놀이 7. 선택적 관심에 의한 예술 8. 창조성을 창조하도록 진화하다 3부 진화와 픽션 9. 왜 우리는 허구에 매료될까? 10. 사건의 이해와 재구성 11. 이야기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 12. 픽션을 향한 인간의 본능 13. 놀이와 예술을 통해 진화하다
제2편 호메로스에서 닥터 수스까지, 이야기의 기원들 4부 이야기의 역사적 기원, 《오디세이아》 14. 관심 끌기 (1) 자연스러운 유형-인물과 플롯 15. 관심 끌기 (2) 개방적 유형-구성의 역설 16. 지능의 진화 (1) 지금 여기 17. 지능의 진화 (2) 지금 여기를 넘어 18. 협력의 진화 (1) 경계의 확장 19. 협력의 진화 (2) 무임승차에 대한 징벌 5부 이야기의 개별적 기원, 《호턴이 듣고 있어!》 20. 문제와 해법의 진화론 21. 설명의 수준-보편, 지역, 개인 22. 설명의 수준-다시 개성으로 23. 설명의 수준-구체성 24. 작가의 의도를 넘어선 의미
맺음말 돌이켜보기와 내다보기-왜 진화비평인가? 발문 진화비평, 문학비평의 지평을 넓히다 주
서가브라우징
오십, 나는 이제 다르게 읽는다 2022 / 지음: 박균호 / 갈매나무
전후 한국 소설의 연구1996 / 박동규 저 / 서울대출판부
박완서 문학앨범1993 / 박완서 ; 권영민 ; 호원숙 공저 / 웅진출판
그래서 우리는 소설을 읽는다 : 주목할 만한 소설 비평 좌담2011 / 박진 ; 김남혁 ; 장성규 지음 / 자음과모음
그래서 우리는 소설을 읽는다 : 주목할 만한 소설 비평 좌담2011 / 박진 ; 김남혁 ; 장성규 지음 / 자음과모음
버지니어 울프 연구1994 / 박희진 저 / 솔
서브텍스트 읽기 : 이야기는 어디에 있는가2016 / 지음: 찰스 백스터 ; 옮김: 김영지 / xbooks
이야기의 기원 : 인간은 왜 스토리텔링에 탐닉하는가2013 / 브라이언 보이드 지음 ; 남경태 옮김 / 휴머니스트
키워드로 읽는 SF : 복도훈 SF 비평집 2024 / 지음: 복도훈 / b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 발자크, 헨리 제임스, 멜로드라마, 그리고 과잉의 양식2013 / 지음: 피터 브룩스 ; 옮김: 이승희 ; 이혜령 ; 최승연 / 소명출판
소설의 운명1996 / 서영채 저 / 문학동네
서정주 문학앨범1995 / 서정주 ; 강우식 ; 김선영 공저 / 웅진출판
뇌를 훔친 소설가 : 문학이 공감을 주는 과학적 이유2011 / 석영중 지음 / 예담
뇌를 훔친 소설가 : 문학이 공감을 주는 과학적 이유2011 / 석영중 지음 / 예담
과학소설 속의 포스트휴먼 = Post-human in science fiction 2021 / 지음: 손나경 / 계명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