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 옛 그림으로 읽는 한중관계사
발행연도 - 2012 / 정은주 지음 / 사회평론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90571
-
ISBN
9788964355350
-
형태
616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한국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책소개
조선시대 사신 행렬에는 언제나 화원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들의 임무는 외교절차를 그리는 것뿐만 아니라 사행 전반의 모습까지 자세히 묘사해오는 것. 저자는 기존 문헌기록과 관련 그림을 함께 분석하여 당시 사행의 모습을 완벽히 고증해낸다.
목차
I. 들어가며
II. 조선 전기 명나라 사행과 기록화
1. 명과의 관계와 외교절차
1) 조선 전기 명과의 관계
2) 명나라 사행과 외교절차
(1) 사절단의 종류
(2) 사절단의 구성과 역할
(3) 조선 전기 명나라 사행 노정
3) 명 사신을 영접하는 절차
2. 명나라 사행을 그린 기록화
1) 명나라 사행기록화
2) 조선사절단의 계회도
3. 명 사신 영접을 그린 기록화
1) 명 황제의 조서를 맞는 영조도
2) 명나라 경리와 군문 접반도
(1) 관반계회도
(2) 군문전별도
3) 명 사신 반차도
4) 관서지역과 한강유람도
III. 조선 중기 바닷길로 간 명나라 사행과 기록화
1. 명과의 관계와 해로사행
1) 명청교체기 조선과 중국
2) 명청교체기 해로사행 노정
2. 해로사행기록화 관련 문헌기록
1) 해로사행기록화에 대한 기록
(1) 오재순『순암집』의 「향해조천도발」
(2) 『조천록』의 채제공 「조천도첩발」
(3) 『듁천니공횡젹』의 「서죽천행록후 송찬수귀호남서」
(4) 『조천록』의 이제한 발문
(5) 이안눌『동악집』의 「제항해조천도」
2) 해로사행기록화의 제작목적
(1) 삼사의 우의 표현과 후대 사행의 지침
(2) 숭명사대에 의한 의리 표출
3. 해로사행기록화의 내용과 사료적 가치
1) 바닷길 노정 : 곽산에서 등주외성
(1) 곽산 선사포의 지명
(2) 가도 모문룡 유진처
(3) 석성도 일대 어룡의 출현
2) 육로 노정 : 등주부에서 북경
(1) 제나라 영역 : 등주부에서 우성현
(2) 조나라 영역 : 평원현에서 하간부
(3) 연나라 영역 : 신성현에서 북경
4. 해로사행기록화의 양식적 선후관계
IV.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과 기록화
1. 청과의 관계와 사행
1) 조선 후기 청과의 관계
2)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
(1) 조선사절의 구성과 활동
(2) 청나라 사행 노정
(3) 사절단의 북경 관소, 회동관
2.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기록화
1) 화원 이필성이 그린 청나라 사행, 《심양관도첩》
(1) 『북원록』을 통해 본 1760년 동지사행
(2) 《심양관도첩》의 제작경위
(3) 《심양관도첩》의 내용 및 구성
(4) 《심양관도첩》의 화풍상 특징
2) 시화로 엮은 강세황의 청나라 사행, 갑진연행시화첩
(1) 갑진연행시화첩의 구성 및 현황
(2) 연행 노정에서 그린 중국실경
(3) 북경에서 공식 사행활동과 영대빙희
(4) 북경 천주당 방문과 서학 인식
(5) 연행에서 제작된 사군자도
3) 1784년 이후 청나라 사행, 《연행도》
(1) 제작배경 및 시기
(2) 사행 노정에서 그린 중국 사적
(3) 북경에서 공식 사행활동 공간
(4) 조선사절의 북경 유람 장소
4) 19세기 청나라 사행을 그린 기록화
5) 청나라 관련 기타 회화
(1) 사행 노정 풍속과 기록화
(2) 청나라 사신 영접과 《용만승유첩》
3. 조선시대 중국사행 및 영접에서 화원의 활동
1) 조선사절단의 구성과 화원
2) 중국사행에 동행한 화원 활동
3) 중국사신 영접에서 화원의 활동
V. 청에서 제작된 조선 관련 기록화
1. 청 사신 아극돈의 조선사행과 《봉사도》
1) 《봉사도》를 그린 청나라 화가, 정여
2) 화첩 순서와 제작 연대
3) 사행의 노정에 따른 주제와 화풍
4) 《봉사도》와 조선의 외교 의례
2. 청나라 궁중 회화에 묘사된 조선인
1) 황청직공도의 조선인
(1) 황청직공도의 제작 경위
(2) 황청직공도의 조선인 묘사
(3) 황청직공도의 조선 유입과《환영초형기문》
2) 만국래조도의 조선사절
(1) 만국래조도의 제작 배경
(2) 만국래조도의 조선사절 묘사
3. 청인이 그린 조선사신 전별도와 초상화
1) 조선사신과의 이별을 그린 전별도
(1) 박제가와 나빙의 《치지회수첩》
(2) 김정희와 《증추사동귀시첩》
(3) 이상적과 《해객금준이도》
2) 교유 문인이 그린 조선사신 초상화
(1) 엄성의 조선사신 초상
(2) 왕여한의 신위 초상
(3) 오준의 이상적 초상
3) 직업화가가 그린 조선사신 초상화
(1) 현존하는 초상화
(2) 기록에 전하는 초상화
VI. 나오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1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