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조선시대 사신 행렬에는 언제나 화원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들의 임무는 외교절차를 그리는 것뿐만 아니라 사행 전반의 모습까지 자세히 묘사해오는 것. 저자는 기존 문헌기록과 관련 그림을 함께 분석하여 당시 사행의 모습을 완벽히 고증해낸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I. 들어가며

II. 조선 전기 명나라 사행과 기록화
1. 명과의 관계와 외교절차
1) 조선 전기 명과의 관계
2) 명나라 사행과 외교절차
(1) 사절단의 종류
(2) 사절단의 구성과 역할
(3) 조선 전기 명나라 사행 노정
3) 명 사신을 영접하는 절차
2. 명나라 사행을 그린 기록화
1) 명나라 사행기록화
2) 조선사절단의 계회도
3. 명 사신 영접을 그린 기록화
1) 명 황제의 조서를 맞는 영조도
2) 명나라 경리와 군문 접반도
(1) 관반계회도
(2) 군문전별도
3) 명 사신 반차도
4) 관서지역과 한강유람도

III. 조선 중기 바닷길로 간 명나라 사행과 기록화
1. 명과의 관계와 해로사행
1) 명청교체기 조선과 중국
2) 명청교체기 해로사행 노정
2. 해로사행기록화 관련 문헌기록
1) 해로사행기록화에 대한 기록
(1) 오재순『순암집』의 「향해조천도발」
(2) 『조천록』의 채제공 「조천도첩발」
(3) 『듁천니공횡젹』의 「서죽천행록후 송찬수귀호남서」
(4) 『조천록』의 이제한 발문
(5) 이안눌『동악집』의 「제항해조천도」
2) 해로사행기록화의 제작목적
(1) 삼사의 우의 표현과 후대 사행의 지침
(2) 숭명사대에 의한 의리 표출
3. 해로사행기록화의 내용과 사료적 가치
1) 바닷길 노정 : 곽산에서 등주외성
(1) 곽산 선사포의 지명
(2) 가도 모문룡 유진처
(3) 석성도 일대 어룡의 출현
2) 육로 노정 : 등주부에서 북경
(1) 제나라 영역 : 등주부에서 우성현
(2) 조나라 영역 : 평원현에서 하간부
(3) 연나라 영역 : 신성현에서 북경
4. 해로사행기록화의 양식적 선후관계

IV.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과 기록화
1. 청과의 관계와 사행
1) 조선 후기 청과의 관계
2)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
(1) 조선사절의 구성과 활동
(2) 청나라 사행 노정
(3) 사절단의 북경 관소, 회동관
2.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기록화
1) 화원 이필성이 그린 청나라 사행, 《심양관도첩》
(1) 『북원록』을 통해 본 1760년 동지사행
(2) 《심양관도첩》의 제작경위
(3) 《심양관도첩》의 내용 및 구성
(4) 《심양관도첩》의 화풍상 특징
2) 시화로 엮은 강세황의 청나라 사행, 갑진연행시화첩
(1) 갑진연행시화첩의 구성 및 현황
(2) 연행 노정에서 그린 중국실경
(3) 북경에서 공식 사행활동과 영대빙희
(4) 북경 천주당 방문과 서학 인식
(5) 연행에서 제작된 사군자도
3) 1784년 이후 청나라 사행, 《연행도》
(1) 제작배경 및 시기
(2) 사행 노정에서 그린 중국 사적
(3) 북경에서 공식 사행활동 공간
(4) 조선사절의 북경 유람 장소
4) 19세기 청나라 사행을 그린 기록화
5) 청나라 관련 기타 회화
(1) 사행 노정 풍속과 기록화
(2) 청나라 사신 영접과 《용만승유첩》
3. 조선시대 중국사행 및 영접에서 화원의 활동
1) 조선사절단의 구성과 화원
2) 중국사행에 동행한 화원 활동
3) 중국사신 영접에서 화원의 활동

V. 청에서 제작된 조선 관련 기록화
1. 청 사신 아극돈의 조선사행과 《봉사도》
1) 《봉사도》를 그린 청나라 화가, 정여
2) 화첩 순서와 제작 연대
3) 사행의 노정에 따른 주제와 화풍
4) 《봉사도》와 조선의 외교 의례
2. 청나라 궁중 회화에 묘사된 조선인
1) 황청직공도의 조선인
(1) 황청직공도의 제작 경위
(2) 황청직공도의 조선인 묘사
(3) 황청직공도의 조선 유입과《환영초형기문》
2) 만국래조도의 조선사절
(1) 만국래조도의 제작 배경
(2) 만국래조도의 조선사절 묘사
3. 청인이 그린 조선사신 전별도와 초상화
1) 조선사신과의 이별을 그린 전별도
(1) 박제가와 나빙의 《치지회수첩》
(2) 김정희와 《증추사동귀시첩》
(3) 이상적과 《해객금준이도》
2) 교유 문인이 그린 조선사신 초상화
(1) 엄성의 조선사신 초상
(2) 왕여한의 신위 초상
(3) 오준의 이상적 초상
3) 직업화가가 그린 조선사신 초상화
(1) 현존하는 초상화
(2) 기록에 전하는 초상화

VI. 나오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2007 / 정민 지음 / 휴머니스트
조선은 왜 무너졌는가 : 제도로 보는 조선 흥망의 역사 조선은 왜 무너졌는가 : 제도로 보는 조선 흥망의 역사 2016 / 지음: 정병석 ; , / 시공사
조선의 왕은 어떻게 죽었을까 : 태조에서 순종까지, 왕의 사망 일기 조선의 왕은 어떻게 죽었을까 : 태조에서 순종까지, 왕의 사망 일기 2021 / 지음: 정승호, 김수진 / 인물과사상사
조선의 왕은 어떻게 죽었을까 : 태조에서 순종까지, 왕의 사망 일기 조선의 왕은 어떻게 죽었을까 : 태조에서 순종까지, 왕의 사망 일기 2021 / 지음: 정승호, 김수진 / 인물과사상사
전하, 옥체를 보존하소서! : 조선시대 왕의 생활 습관과 생로병사 전하, 옥체를 보존하소서! : 조선시대 왕의 생활 습관과 생로병사 2023 / 지음: 정승호, 김수진 / 지식공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선비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선비 2002 / 정옥자 저 / 현암사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 조선사에서 법고창신의 길을 찾다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 조선사에서 법고창신의 길을 찾다 2012 / 정옥자 지음 / 돌베개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 옛 그림으로 읽는 한중관계사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 옛 그림으로 읽는 한중관계사 2012 / 정은주 지음 / 사회평론
조선 지식인, 중국을 거닐다 조선 지식인, 중국을 거닐다 2017 / 지음: 정은주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통신사를 따라 일본 에도시대를 가다 통신사를 따라 일본 에도시대를 가다 2005 / 정장식 지음 / 고즈윈
조선의 국왕과 의례 조선의 국왕과 의례 2011 / 정재훈 지음 / 지식산업사
조선 국왕의 상징 조선 국왕의 상징 2018 / 지음: 정재훈 / 현암사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1998 / 정진영 저 / 한길사
정조처럼 소통하라  : 편지로 상대의 마음을 얻은 옛사람들의 소통 비결 정조처럼 소통하라 : 편지로 상대의 마음을 얻은 옛사람들의 소통 비결 2018 / 정창권 지음 / 사우
정조처럼 소통하라  : 편지로 상대의 마음을 얻은 옛사람들의 소통 비결 정조처럼 소통하라 : 편지로 상대의 마음을 얻은 옛사람들의 소통 비결 2018 / 정창권 지음 / 사우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동법 : 조선 최고의 개혁 :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 대동법 : 조선 최고의 개혁 :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 2010 / 이정철 지음 / 역사비평사
압록강에서 열하까지 연행노정 답사기. 상-하 압록강에서 열하까지 연행노정 답사기. 상-하 2014 / 이보근 지음 / 어드북스
조선의 여성 역사가 다시 말하다 조선의 여성 역사가 다시 말하다 2011 / 정해은 지음 / 너머북스
통신사를 따라 일본 에도시대를 가다 통신사를 따라 일본 에도시대를 가다 2005 / 정장식 지음 / 고즈윈
고급 라틴어 고급 라틴어 2014 / 지음: 성염 / 경세원
조선 지식인, 중국을 거닐다 조선 지식인, 중국을 거닐다 2017 / 지음: 정은주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한문문법 = 漢文文法 한문문법 = 漢文文法 2014 / 이상진 저 / 전통문화연구회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경성, 카메라산책 : 사진으로 읽는 경성 사람, 경성 풍경 경성, 카메라산책 : 사진으로 읽는 경성 사람, 경성 풍경 2013 / 이경민 지음 / 아카이브북스
(세계문화유산)경주 남산 사진으로 읽다 (세계문화유산)경주 남산 사진으로 읽다 2018 / 박명순 지음 ; 박근재 사진 / 한생각
격동한국 50년 : 역사의 기억, 시대의 추억 1965-2015 : 구와바라 시세이 한국사진전집 격동한국 50년 : 역사의 기억, 시대의 추억 1965-2015 : 구와바라 시세이 한국사진전집 2015 / 지음: 구와바라 시세이 / 눈빛
도시에 서다  : 한국도시의 형성과 진화. 1, 순천 여수 구례 남원 도시에 서다 : 한국도시의 형성과 진화. 1, 순천 여수 구례 남원 2016 / 글: 한광야 ; 사진: 신윤석 / 상상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1
50대1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1
2019년1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