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소설의 귀환
1. 소설의 죽음과 귀환
2. 귀환과 새로운 창조
3. 소설의 결집의 힘과 도전적 서사-근대사회에서 소설의 특별한 위치
4. 가라타니의 ‘문학의 종언’에 대한 반박
5. ‘상상력’을 넘어서는 가상공간의 ‘은유적 정치’
6. 가라타니의 보르메오의 매듭의 문제점
7. 후기자본주의와 두 가지 서사
8. 사유의 두 영역과 서사의 귀환
9. 도전적 서사의 귀환
10. 서사적 사유와 문학교육
11. 서사의 귀환과 주체의 귀환
제2장 주체의 귀환
1. 주체중심주의에서 주체의 해체로
2. ‘주체’라는 전쟁터-후기자본주의와 다중
3. 서사적 사유를 통한 대서사와 미시서사의 접합
4. 대상없는 진리와 주체, 그리고 사건
5. 주체를 둘러싼 논쟁--타자, 특이성, 민족, 민중, 다중
6. 주체 생성과정에서의 사건과 네트워크-은유로서의 정치
7. 은유로서의 네이션과 윤리적 네트워크
8. 대서사의 기획적 차원과 수행적 차원-유령의 도발과 이론의 자기갱신
9. 탈식민적 주체를 통한 딜레마의 해결
10. 탈식민적 주체의 위치
11. 존재의 이중성과 새로운 주체
12. 바디우의 주체이론-대상없는 주체
13. 레비나스의 주체이론-윤리적 주체
14. 서사적 주체의 귀환
제3장 윤리의 회생
1. 서사의 귀환과 윤리
2. 차가운 윤리와 따뜻한 윤리
3. 사건과 윤리
4. 정의와 ‘인간에 대한 예의’-공지영의 「인간에 대한 예의」
5.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반박
6. 이성적 윤리와 감성적 윤리-자유와 자연의 조화
7. 스피노자의 윤리와 라이프니츠의 울림
8. 윤리에 대한 향수로서의 음악-윤후명과 김중혁의 소설
9. 신을 대신하는 윤리
10. 레비나스와 바디우의 윤리-존재의 이중성과 서사적 윤리
11. 욕망과 조화된 윤리-앙티 오이디푸스적 윤리
12. 가짜욕망과 유사정의 시대의 윤리-박민규의 소설과 이창동의 『시』
13. 윤리 회생의 프로젝트
14. 21세기의 윤리의 역할과 도전적 서사의 새로운 힘
제4장 청년의 회생
1. 청년의 탄생과 ‘윤리적 무의식’의 발견
2. 미적 청년의 의미와 청년들의 연대
3. 청년의 죽음과 회생-임화의 시
4. 21세기의 청년의 회생
5. 변혁을 변혁하는 청년
6. 아픔에 반항하니까 청춘이다
7. 청소년의 탄생
제5장 사랑과 혁명의 귀환
1. 사랑의 세 가지 유형-소유ㆍ낭만ㆍ타자성
2. 진정한 사랑에 이르는 방법
3. 여성적 사랑과 에로스적 사랑-박완서의 「그 여자네 집」
4. 사랑과 혁명의 결합
5. 타자성의 울림으로서의 사랑과 혁명
6. 사랑과 윤리의 미시서사와 역사적 거대서사-타자성의 사랑과 다중
7. 서사적 주체와 새로운 혁명의 귀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