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출인기
버림의 행복론 : 끊고 斷 / 버리고 捨 / 떠나라 離
발행연도 - 2011 / 야마시타 히데코 지음 ; 박전열 옮김 / 서울문화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81853
-
ISBN
9788926393079
-
형태
231 p. 21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생활과학
>
주택관리 및 가정설비
-
카테고리분류
자기계발
>
인생처세
>
인생론
책소개
2009년 12월 일본에서 출간되어 블로그와 카페, 관련 동호회를 달구며 이른바 ‘단사리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불과 1년 7개월여 만에 50만 부에 육박하고 있는 베스트셀러. 단사리는 글자 그대로 ‘끊고, 버리고, 이별하다’라는 뜻의 조어로서 집착을 버리고 심적 평온 상태를 유지하는 요가의 수행법의 하나인‘단행斷行.사행捨行.이행離行’에서 유래했다. 즉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고 정리하다보면 자연스레 소유욕과 집착에서 벗어나 마음이 평온해진다는 것이 이 책의 요지다.
목차
서문
추천사
프롤로그
제1장 알면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 단사리의 메커니즘
단사리, 치우지 않는 치우기를 통한 자유
치우면 치울수록 행복해지는 마법!
단사리의 목적은 나를 바로 보는 것이다!
물건을 치움으로써 ‘깨달음’에 이른다
물건이 차지했던 공간과 에너지를 되돌려 놓자
장롱 속의 자기 개혁
있는데 없고, 없는데 있다
물건과의 관계가 사람과의 관계도 바꾼다
물건을 버리는 즐거움!
doing의 세계에서 being의 세계로
있어야 할 자리에 있는 물건은 아름답다
단사리 칼럼 1 몽골인의 단사리적 생활 방식
제2장 왜 우리는 정리하지 못하는 것일까 * 버리지 못하는 이유
풍요로운 사회가 낳은 부작용
싼 게 비지떡?
제멋대로 굴러 들어오는 물건들
은어는 사라지고 그 자리에 메기가
못 버리는 사람의 세 종류
집에 있고 싶지 않은 ‘현실 도피형’
추억을 먹고 사는 ‘과거 집착형’
강박관념에 사로잡힌 ‘미래 불안형’
과거를 사는 사람, 현재를 사는 사람
버릴 수 없는 게 아니라 버리고 싶지 않다
정리되지 않은 방은 변비에 걸린다
잡동사니가 몰고오는 정체운·부패운
잡동사니는 결국 잡동사니일 뿐이다
물건과 나의 관계성은 적절한가?
필요한가? 적절한가? 상쾌한가?
일상에 집중하기? 신뢰를 저축하기!
감점법에서 가점법으로
잊혀진 물건들의 반란
방을 치우지 않는 심리
집이란 무엇인가?
단사리에서 ‘주육’을 목표로 한다
주거환경을 의식적으로 염두에 둔다
스스로를 대접한다
단사리 칼럼 2 나이팅게일이 설명해 준 주거환경과 건강
제3장 먼저 머릿속 정리부터 * 단사리적 사고의 철칙
단사리를 실천하기 위한 조건들
‘자기 중심 축’-주어가 어디에 있는지 생각한다
타인을 위한, 타인에 의한
반짝반짝 윤이 나게 청소를!
버리고 버리고 또 버리라
타인의 물건은 쓰레기다?
단사리에 임하는 자세
눈에 보이는 세계를 위하여!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다
트레이닝의 중요성
아. 아깝다!
물건을 순환시키는 원동력
물건은 우리를 비추는 거울이다
결정 회피의 법칙
버리지도 주지도 못하는 당신에게!
단사리 칼럼 3 고마쓰 점가 복원 프로젝트 - 다시 활기를 찾은 상가
제4장 그리고 몸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 단사리적 실천의 방법
물건을 줄이기 위한 가이드라인
완벽한 물건은 의욕을 향상시킨다
목적별 장소 선택의 포인트
단사리는 첫째도 둘째도 버리기부터
잡동사니 IQ
쓰레기를 분리하여 버린다
‘미안합니다’, 그 동안 ‘감사했습니다’
내가 주는 것이 아니라 상대가 받는 것이다
대·중·소 ‘세 가지 분류 법칙’으로 마무리짓다
세 가지 분류가 가장 적당하다
7·5·1 ‘총량 규제의 법칙’으로 여유 있는 공간 만들기
총량 규제에 따른 ‘교체의 법칙’
원터치&자립·자유·자재의 법칙
원터치의 법칙
자립·자유·자재의 법칙
‘그때그때 주의’도 좋아
단사리 칼럼 4 단사리 비교급
제5장 상쾌함과 해방감, 그리고 좋은 기분! * 보이지 않는 세계의 가속적인 변화
오토 런의 법칙-자동적으로 정리되는 메커니즘
단사리와 오토 런
물건을 통한 품격 높이기
남아 있는 물건에서 내가 보인다
셀프 이미지 이상의 물건 쓰기
단사리란 청빈한 생활을 권하는 것이 아니다
보이지 않는 변화의 지속적인 발생
자력에서 타력으로
우주로부터 오는 응원
소유로부터의 해방
에필로그
역자후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1 |
30대 | 4 |
40대 | 7 |
50대 | 5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4 |
2017년 | 3 |
2018년 | 3 |
2019년 | 0 |
2020년 | 2 |
2021년 | 1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1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