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일러두기
제1부 상호인식, 본질적 괴리감
1장 茶山의 외국 선진문화 수용론-「기예론」과 증서를 중심으로- / 金相洪
1. 서론
2. 중국 선진문화 수용
3. 일본의 선진문화 수용
4. 사신의 제2 책무
5. 결론
2장 조선후기 지식인의 對淸 인식-湛軒과 燕巖을 중심으로- / 尹勝俊
1. 머리말
2. 湛軒 洪大容의 對淸 인식
3. 燕巖 朴趾源의 對淸 인식
4. 맺음말
3장 구한말 동아시아 지식인의 문화비전-창강 김택영을 중심으로- / 鄭載喆
1. 문제의 제기
2. 『고본대학장구』의 사상적 함의
3. 『한사경』의 역사비전과 귀결점
4. 문화비전의 한문학사적 의미
4장 19세기 조선인의 서구관-서양 기물의 수용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 朴暎美
1. 서론
2. 西器:公的 利器에서 趣味로
3. 육안에서 광학으로:시야의 확대
4. 玩賞으로서의 자명종:기계와 유희
5. 결론
5장 18·9세기 한중 학자의 名物考證-李德懋와 阮元의 ‘葵’에 대한 고증을 중심으로- / 徐漢庸
1. 서론
2. ‘葵’에 대한 선행 고찰
3. 완원의 ‘葵’考
4. 이덕무의 ‘葵’考
5. 결론
6장 1624년 奏請 使行錄의 변이 양상과 그 의도-한문본 「朝天錄」과 국문본 「됴텬녹」을 중심으로- / 嚴泰雄
1. 서론
2. 한문본 「朝天錄」과 국문본 「됴텬녹」 비교
3. 변이 양상
4. 변이 양상의 의미-인조반정 이후의 인조반정에 대한 해석과 사행록의 변모
5. 결론
7장 壺谷 南龍翼의 使行詩를 통해 본 對日·對淸 意識의 樣相과 意味 / 尹載煥
1. 서론
2. 호곡 남용익의 사행 기록 비교
3. <除夜, 放舟行二百里, 紀壯遊述客懷, 得二百韻排>를 통해 본 남용익의 대일 의식
4. 사행시를 통해 본 남용익의 대청 의식
5. 대일 의식과 대청 의식의 비교
제2부 교류와 소통, 현실적 양상
1장 조선 사대부의 孔子 후예와 교유-동악 이안눌의 『孔提督酬唱』을 중심으로- / 金相洪
1. 서언
2. 조선 사대부의 使行觀
3. 동악의 사행과 『공제독수창록』
4. 동악의 衍聖公과 孔聞謤와의 교유
5. 결어
2장 麗末의 정세와 圃隱의 明·倭 使行詩 연구 / 金榮洙
-포은의 외교적 역량에 주안하여-
1. 서언
2. 麗末의 情勢와 圃隱의 역할
3. 事大와 交隣의 使行
4. 使行詩 분석
5. 결언
3장 임술사행時 小山朝三의 위치와 역할 / 箕輪吉次
1. 머리말
2. 사료에 나타난 小山朝三
3. 임술년의 小山朝三
4. 창수집에 나타난 小山朝三
5. 맺음말-李彦綱이 본 小山朝三
4장 耳溪 洪良浩의 燕行과 그 의미 / 蔡美花, 郭美善
1. 들어가며
2. 이계의 對淸의식과 燕行을 바라보는 시선
3. 燕行을 통한 중국 문인과의 교유
4. 나오며-이계의 燕行이 갖는 의미
5장 조선시대의 대일외교와 의례문제 / 河宇鳳
1. 머리말
2. 교린외교와 의례
3. 통신사외교와 외교의례의 변천양상
4. 막부의 접대 준비와 통신사의 江戶城 입장
5. 통신사의 국서전달의식
6. 일본사신에 대한 접대와 외교의례
7. 맺음말
6장 조선시대 필기·야담집 속 琉球 체험과 형상화 / 金貞淑
1. 서론
2. 使臣과 漂流民의 눈에 비친 琉球
3. 필기․야담집 속에 형상화된 琉球
4. 朝鮮의 琉球에 대한 이중적 시선-결론을 대신하여
7장 건륭 연간 연행록을 통해본 중국도서 유입에 대하여 / 夫裕燮
1. 서론
2. 도서 유입의 현실적 환경
3. 유입된 도서의 양상과 의미
4. 결론
8장 ‘朝鮮秘傳’ 干牛丸을 통해본 朝日醫學 교류의 일면 / 徐漢錫
1. 들어가며
2. 1811년 通信使와 金善臣의 「干牛丸贊」
3. 조선시대 의학의 발전과 의학 교류
4. 咸醫의 渡日과 干牛丸의 전파
5. 마치며
9장 조선후기 韓日學術交流에 대한 一考-그 비대칭성을 중심으로- / 咸泳大
1. 緖論
2. 조선후기 韓日學術交流의 맥락
3. 한일 학술교류의 비대칭적 면모
4. 남는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