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산업 구조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 치중해온 기존의 문화 산업·정책 연구 경향을 비판하며, 문화의 ‘생산’과 ‘조절’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들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적 전환’의 조건들에 대해 탐구한다.
목차
서문 / 백원담
제1부 동아시아 문화조절의 담론과 실천
01. 문화산업과 정책담론의 조절 메커니즘
1. 90년대 포스트 사회주의 중국의 '견제와 조절(check and balance)' 매커니즘 : 문화체제개혁, 사회주의문화시장, 트랜스내셔널리즘, 문화공공성 / 백원담
2. 문화정책의 문화 조절 정치학 : 1990년대 이후 문화정책 속 '문화'의 이해 변화를 중심으로 / 염찬희
3. 한중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 규제 현상 비교연구 : <소리바다>와 <사미엔샹(三面向)>을 중심으로 / 강내영
02. 문화조절의 반 - 흐름들(counter-flow)
4. 한국 웹만화의 문화적 특성과 서사전략 : 강도하의 작품을 중심으로 / 강찬남
5. 한일 문화번역과 청년문화의 경계설정 / 소영현
6. 일본문학의 '번역'에서 보이는 역사인식 고찰 - 역사소설『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 이선이
제2부 동아시아 문화생산 주체의 이동
01. 문화산업 구조의 변동과 문화민주화
7. 문화산업, 내셔널리즘, 문화공공성 : 21세기 중국의 문화경제와 문화민주화 문제 / 백원담
8. 'DVD(Digital Video)운동'을 통해 본 현대 중국의 문화주체의 변화 : 1990년 이후 우원광(吳文光)의 다큐멘터리 생산을 중심으로 / 천진
9. 2000년 이후 한국영화산업 제작문화 변화 연구 : 예술인의 문화에서 노동자의 문화로 / 염찬희
02. 뉴미디어와 문화생산대중의 출현
10. 인터넷 시대의 서사 양식 웹만화의 한 경향 - 강풀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 강창남
11. '팬픽(fanfic)'과 글쓰기 문화 : 뉴미디어 시대의 글쓰기에 관한 문화생태학적 고찰 / 소영현
12. 메이드 인 '바리허우' - 이천년대 중국문학의 어떤 경로 / 박자영
참고문헌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