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중층근대성론에 따르면 동아시아에서도 근대문명의 기틀을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동아시아 문명의 중심 내용, 그 축은 과연 무엇인가? 김상준 교수는 동아시아 문명의 축을 우리가 낡은 사상이라고 치부했던 유교에서 찾는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유교의 근본 원리, 제2부는 유교의 작동 원리, 제3부는 유교 동아시아, 제4부는 유교 조선을 다룬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동아시아 유교문명과 인류 보편적 가치
제1부 중층근대와 유교
제1장 중충근대성:근대성 이론의 혁신
제2장 맹자의 땀: 인류 진화와 도덕적 몸의 탄생
제3장 성왕의 피: 폭력과 성스러움, 유교적 안티노미
3장 보론 유교적 초월성: 양계초 대 막스 베버
제2부 유교세계의 작동 원리
제4장 유교정치의 키워드
4장 보론 조선 그리고 중국, 일본, 베트남의 유교정치와 군주주권: 예외와 법칙
제5장 유교의 예는 어떻게 사회를 규율했는가?
제6장 유교 노블레스 오블리주: 여성적 절의와 도덕권력
제3부 동아시아 초기근대의 전개 양상
제7장 잊혀진 지구화: '긴 12세기'와 동아시아 초기근대혁명
제8장 유교사회 영구정체론, 아시아적 생산양식론 비판
제9장 동아시아 유교소농체제
9장 보론 동아시아 유교소농체제에서의 자유 공간과 체제 안정성 비교
제4부 조선 후기 유교 근대의 다이내미즘
제10장 1659년 기해예송의 전말과 유교 국민국가의 태동
제11장 유교군주와 근대주권: 윤휴, 정약용, 정조
제12장 "온 나라가 양반 되기": 조선후기 유교적 평등화 매커니즘
제13장 동학(東學): 대중유교와 인민주권
제14장 결론: 21세기 문명의 흐름과 유교의 재발견
에필로그: 동아시아의 여명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