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사이버 왕따’와 게임 중독
따돌림 생중계와 ‘사이버 왕따’ 현상
사이버 왕따의 심각성
‘왕따’는 무시무시한 범죄 행위
게임 중독과 불건전한 채팅은 정신 건강을 악화시킨다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과 예방·관리
인터넷을 건전하게 이용하는 법
2 왜 아이들이 폭력을 휘두를까?
호르몬과 학교폭력
신경전달물질과 학교폭력
폭력 성향은 유전과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가족해체 현상과 학교폭력
동물의 왕과 인간 리더의 차이점
3 다 자라지 않은 청소년의 뇌
청소년의 뇌 속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청소년의 뇌는 극적인 변화를 겪는다
청소년은 두 가지 통과 의례를 거친다
청소년의 정서는 격렬하고 불안정하다
4 충동적인 청소년
충동구매와 청소년 심리의 상관관계
충동적인 행동은 뇌가 시킨다
자살 충동에 시달리는 아이들
청소년의 뇌와 학교폭력
전두엽이 자라야 충동성이 조절된다
5 학교폭력과 정신질환
무엇이 비정상적인 행동일까?
ADHD와 학교폭력
품행장애와 청소년 범죄
충동조절장애와 학교폭력
게임 중독과 인터넷 중독
청소년 우울증
청소년 자살
6 한국의 학교폭력 실태
한국 청소년의 절반은 학교폭력 피해자
학교폭력의 경험 빈도는 1년간 평균 1~2회
가해 학생의 범행 동기는 ‘장난이었을 뿐’
가해 여학생 비율 10년 사이 8배 늘어
7 가해하는 아이, 피해 당하는 아이
학교폭력 가해자가 되기 쉬운 아이
가해 학생 체크 리스트
학교폭력 피해자가 되기 쉬운 아이
피해 학생 체크 리스트
8 학교폭력 예방법과 대처법
가정에서 할 수 있는 학교폭력 예방법
교사가 할 수 있는 학교폭력 예방법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학부모의 자세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교사의 자세
학생들을 어떻게 지도할까?
9 외국의 학교폭력 예방교육
미국의 학교폭력 예방책
영국의 학교폭력 예방책
프랑스의 학교폭력 예방책
노르웨이의 학교폭력 예방책
스웨덴의 학교폭력 예방책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
10 청소년에게 말 걸기
청소년 자녀와 대화하는 방법
청소년에게 꼭 해야 할 말
청소년에게 하지 말아야 할 말
자존감을 높여주는 대화가 필요하다
+1 청소년을 새롭게 이해하자
왜 가해 학생들은 친구를 괴롭힐까?
왜 피해 학생들은 자살을 할까?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가정에서 해야 할 일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학교에서 해야 할 일
청소년을 새롭게 이해해야 한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