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글, 임진왜란, 日人도 숭앙한 이순신 장군
2. 일본 왜성
부산지역
_부산포 왜성(釜山浦 矮城) 왜군의 본영
_자성대 왜성(子城臺) 부산포의 지성
_동래 왜성지(東萊)
_동삼동 왜성지(東三洞) 부산포의 지성
_경상좌수영(慶尙左水營)
_구포 왜성(龜逋) 죽도의 지성
_죽도 왜성(竹島)
_농소 왜성(農所) 죽도의 지성
_가덕도 왜성(加德島) 제2 왜수군 기지
진해지역
_안골포 왜성(安骨浦) 왜수군의 본진
_웅천 왜성(熊川) 제1 왜수군 기지
_제포 왜관(薺浦倭館)
_자마 왜성(子馬) 웅천의 지성
_명동 왜성(明洞) 웅천의 지성
양산지역
_호포 왜성지(湖浦) 양산의 지성
_양산 왜성(梁山)
_마사 왜성(馬沙)
울산지역
_기장 왜성(機張)
_임랑포 왜성(林浪浦)
_서생포 왜성(西生浦)
_울산 왜성(蔚山) 서생포의 지성
마산ㆍ고성지역
_마산 왜성(馬山)
_고성 왜성(固城)
거제도지역
_경상우수영(慶尙右水營)
_영등포 왜성(永登浦)
_송진포 왜성(松眞浦)
_장문포 왜성(長門浦)
_견내량 왜성지(見乃梁)
사천ㆍ남해ㆍ순천지역
_사천 왜성(泗川)
_망진성 및 사등성(望晉ㆍ沙登)
_남해 왜성(南海)
_순천 왜성(順天)
3. 왜성의 구성
…개략도, 복원도, 전략구성도, 왜성발자취, 일본 전국시대, 왜군부대편성, 풍신수길, 조선침략 항로도, 名護屋城, 勝本城, 淸水城, 耳塚(귀무덤), 朝鮮茶碗城
4. 이순신
…명량대해전(울돌의 국어적 의미, 벽파정 대첩), 이순신은 과연 갑옷을 벗었는가?
5. 부록
…왜정시대, 잡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