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규장각 교양총서'. 6권에서는 조선초기부터 근대시기까지 조선을 다녀간 이방인들의 여행을 다룬다. 세종 시기 명나라 칙사들부터 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사행과 같은 국가간 사신 왕래들부터 하멜로 대표되는 표류, 학술조사 차 배를 타고 건너온 학자들의 여행까지 다양한 형태의 여행기록을 전문가들의 꼼꼼한 사료검토와 풍부한 상상력 및 관련된 도판으로 입체적으로 다루었다.
목차
규장각 교양총서를 발간하며
머리글 | 조선을 만난 세상 사람들의 시선과 기록
1장 권력과 자존심과 탐학의 여행길 _ 중국 칙사들의 조선 사행 / 한명기 [명지대 교수]
2장 정묘호란이 끝나자마자 조선에 와서 상경한 일본인들 _ 17세기 초 일본 관료들이 본 조선 / 정성일 [광주여대 교수]
3장 군인, 신부, 포로, 조선 땅에 발을 내딛다 _ 귀화인 김충선과 천만리의 조선 생활 / 황재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4장 36명 네덜란드인의 조선 생존기 _ 하멜 일행의 표류기 / 정호훈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5장 줄기에 매달린 오이 형상에서 근대의 정교한 지도까지 _ 이웃 나라가 그려낸 조선의 이미지 / 오상학 [제주대 교수]
6장 프랑스 이방인의 조선 관찰기 _ 극동지역에 파견된 선교사 이야기 / 조현범 [한국교회사연구소 책임연구원]
7장 “나는 한국에서 살인충동을 느꼈다” _ 좌파 작가 잭 런던이 본 대한제국의 몰락 / 조형근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객원연구원]
8장 유럽 몰락 귀족이 조선 관료가 된 까닭 _ 묄렌도르프, 조선에서 참판이 되다 / 김현숙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전임연구원]
9장 이탈리아인의 독특한 오리엔탈리즘 _ 로제티의 『꼬레아 꼬레아니』가 담아낸 서울 / 전우용 [전 서울대 병원역사문화센터 교수]
10장 나라를 잃어버린 조선에 대한 인상비평 _ 사진과 영상물로 남긴 베버 신부의 조선 여행 기록 / 김태웅 [서울대 교수]
11장 일본 문화재학 대부의 ‘시선視線의 정치학’ _ 세키노 다다시의 조선고적 조사 / 목수현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12장 스웨덴 동물학자의 조선생물 탐사기 _ 스텐 베리만의 탐험과 수집의 여행 / 문만용 [한국과학기술원 연구교수]
13장 사각형 종이 속에 담긴 욕망의 이미지 _ 100년 전 사진엽서로 읽는 조선이란 나라 / 김수진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객원연구원]
참고문헌 및 더 읽어볼 책들
지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