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 文獻情報學原論
  • 文獻情報學原論

    발행연도 - 2011 / 鄭駜謨 著 ; 南台祐 增補 / 한국학술정보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74166
    • ISBN 9788926818886
    • 형태 347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총류 > 문헌정보학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서지/출판 > 서지/문헌/도서관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이번 제5개정판은 기존 4개정판의 제1, 2편에서 정보와 도서관에 대해 다루었던 것은 동일하나 제3편 문헌정보학 부문을 두 편으로 나누어 제3편은 ‘도서관학과 도큐멘테이션’의 의의를 논하고 제4편은 ‘정보학과 문헌정보학’을 논술하고 제5편은 문헌정보학의 약사로 끝을 맺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1편 정보화 사회
Ⅰ. 정보의 의의
A. 정보의 어원과 그 淵源
B. 정보에 대한 제 정의
C. 정보의 본질적 정의
Ⅱ. 정보의 종류와 그 분류
A. 정보의 발생형태에 따른 종류
B. 정보의 수신기관(五官)에 의한 종류
C. 정보의 전달형태에 따른 종류
D. 정보의 입수형태에 의한 종류
E. 정보의 기능에 의한 종류
F. 기타 정보의 종류
Ⅲ. 정보자료
A. 정보자료의 의의
B. 정보자료의 종류와 명칭
Ⅳ. 정보화 사회
A. 정보화 사회의 현상
B. 정보의 생산량과 유통량
C. 정보유통상의 제 문제
V. 정보의 가치와 효용
A. 정보의 가치와 본질
B. 기록정보의 효용
Ⅵ. 정보자료의 생산자와 전달기관
A. 정보의 생산자
B. 정보자료의 생산자
C. 정보전달기관
D. 정보통할기관


제2편 도서관
Ⅰ. 도서관(문헌관)의 의의
A. 도서관(문헌관)의 유래
B. 도서관(문헌관)의 어원
C. 도서관(문헌관)의 정의
Ⅱ. 도서관(문헌관)의 기능
A. 일반적 기능
B. 관종별 기능
Ⅲ. 도서관(문헌관)자동화
A. 컴퓨터기술의 발전과정
B. 컴퓨터의 기본구조와 기본용어
C. 도서관(문헌관)자동화의 의의
D. 도서관(문헌관)자동화의 발전 단계
Ⅳ. 미래의 도서관
A. 미래도서관의 명칭 및 의의
B. 전자도서관의 발전 단계
C. 전자도서관의 특성
D. 전자도서관의 구성요소
E. 미래도서관(문헌관)에 있어서의 사서(문헌사)의 역할


제3편 도서관학과 도큐멘테이션
Ⅰ. 도서관학의 의의
A. 도서관학
B. 도서관학의 발생
C. 도서관학의 정의
Ⅱ. 도큐멘테이션의 의의
A. 도큐멘테이션의 발단
B. 도큐멘테이션의 의미


제4편 정보학과 문헌정보학
Ⅰ. 정보학의 의의
A. 정보학의 발단
B. 정보학의 정의
C. 정보학의 범위
Ⅱ. 문헌정보학의 의의
A. 정보학의 도입
B. 학문명칭의 변화
C. 문헌정보학의 정의
Ⅲ. 문헌정보학의 영역과 체계
A. 문헌정보학의 교과목
B. 문헌정보학의 체계
C. 문헌정보학의 영역


제5편 문헌정보학의 약사
Ⅰ. 동양의 문헌정보학사
A. 중국
B. 한국
C. 일본
Ⅱ. 서양의 문헌정보학사
A. 고대
B. Greece 시대
C. Rome 시대
D. 중세
E. 16~17세기
F. 18세기의 서지학
G. 19세기-도서관학의 태동
Ⅲ. 도서관학의 성립
A. Gōttingen 대학의 도서관학 강좌개설
B. Columbia 대학의 도서관학교
C. Gōttingen, Columbia 양 대학 도서관학강좌 평가
D. 도서관학의 교과목 확대
E. 도서관학에 대한 비판과 반성
F. 도큐멘테이션의 발생
Ⅳ. 도서관학 이론의 제기
A. Ranganathan의 도서관학
B. Butler의 도서관학
C. 도서관학의 단점
Ⅴ. 정보학의 출현과 문헌정보학의 성립
Ⅵ.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몇가지 용어의 문제


부록 文獻情報學의 形成論理
서론
Ⅰ. 情報에 대한 共通槪念
A. 情報槪念의 諸說에 대한 再檢討
B. 情報의 共通槪念
Ⅱ. 文獻의 개념과 意義
A. 文獻의 語意
B. 文獻의 여러 가지 名稱
C. 文獻의 意義
Ⅲ. 文獻情報學의 形成
A. 文獻情報學의 名稱構成
B. 圖書館學의 槪念과 範圍
C. 情報科學의 槪念과 範圍
D. 情報科學 導入의 必要性
E. 情報의 單位와 媒體
F. 情報의 발생량과 流通量
G. 情報의 價値
H. 情報의 選擇과 效用
I. 圖書館學과 그 缺陷
J. 文獻情報學의 교과목
結論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문헌정보학이란 무엇인가 = Introduction to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문헌정보학이란 무엇인가 = Introduction to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2019 / 지음: 이종권 / 문현출판
문헌정보학이란 무엇인가 = Introduction to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문헌정보학이란 무엇인가 = Introduction to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2019 / 지음: 이종권 / 문현출판
문헌정보학이란 무엇인가 문헌정보학이란 무엇인가 2008 / 이종권 지음 / 조은글터
문헌정보학총론 문헌정보학총론 2007 / 정동열, 조찬식 /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총론 문헌정보학총론 2016 / 저자: 정동열 ; 조찬식 /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 이론과 원칙 문헌정보학 이론과 원칙 2010 / 정동열 ; 김성진 저 /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 이론과 원칙 문헌정보학 이론과 원칙 2010 / 정동열 ; 김성진 저 / 한국도서관협회
文獻情報學原論 文獻情報學原論 2011 / 鄭駜謨 著 ; 南台祐 增補 / 한국학술정보
(랑가나단 박사의 『도서관학의 5법칙』에서 배우는) 도서관이 나아갈 길 (랑가나단 박사의 『도서관학의 5법칙』에서 배우는) 도서관이 나아갈 길 2012 / 저: 타케우치 사토루 ; 역: 오동근 / 태일사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2008 / 한국문헌정보학회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편찬위윈회 편 / 한국도서관협회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2013 / 한국문헌정보학회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편찬위원회 편 /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의 이해 문헌정보학의 이해 2021 / 지음: 한국문헌정보학회 / 한국도서관협회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  = Digital contents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 = Digital contents 2014 / 저자: 노영희 / 청람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  = Digital contents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 = Digital contents 2014 / 저자: 노영희 / 청람
디지털 시대와 인간 존엄성 디지털 시대와 인간 존엄성 2002 / 김주환 외저 / 나남출판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공공도서관 운영론 공공도서관 운영론 2001 / 이진영 저 / 아세아문화사
공공도서관경영론 공공도서관경영론 2010 / 저: 윤희윤 / 태일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도서관의 탄생  : 문명의 기록과 인간의 역사 도서관의 탄생 : 문명의 기록과 인간의 역사 2012 / 스튜어트 A.P. 머레이 지음 ; 윤영애 옮김 / 예경
세계의 도서관 세계의 도서관 2015 / 제임스 W.P. 캠벨 지음 ; 윌 프라이스 사진 ; 이순희 옮김 / 사회평론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7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7 2012 / EBS〈지식채널ⓔ> 제작팀 지음 / 북하우스
지식 e. [10], 지식 e and 지식 e. [10], 지식 e and 2017 / 지음: EBS〈역사채널ⓔ〉제작팀 / 북하우스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 = Digital contents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 = Digital contents 2014 / 노영희 저 / 청람
도서관 지식문화사: 세상 모든 지식의 자리, 6000년의 시간을 걷다 도서관 지식문화사: 세상 모든 지식의 자리, 6000년의 시간을 걷다 2019 / 지음: 윤희윤 / 동아시아
문헌정보학 이론과 원칙 문헌정보학 이론과 원칙 2010 / 정동열 ; 김성진 저 / 한국도서관협회
(지식의 보고) 알렉산드리아 대 도서관  = Bibliotheca Alezandrina (지식의 보고) 알렉산드리아 대 도서관 = Bibliotheca Alezandrina 2012 / 남태우 저 / 태일사
도서관의 말들 도서관의 말들 2019 / 지음: 강민선 / 유유
고대 도서관의 역사 : 수메르에서 로마까지 고대 도서관의 역사 : 수메르에서 로마까지 2003 / 라이오넬 카슨 지음 ; 김양진 ; 이희영 옮김 / 르네상스
정보문해 정보문해 2008 / 김순희 [지음] / 한국학술정보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1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1 2009 / EBS〈지식채널ⓔ> 제작팀 지음 / 북하우스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2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2 2010 / EBS〈지식채널ⓔ> 제작팀 지음 / 북하우스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3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3 2010 / EBS〈지식채널ⓔ> 제작팀 지음 / 북하우스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4 지식 e = Knowledge :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4 2011 / EBS〈지식채널ⓔ> 제작팀 지음 / 북하우스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1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1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