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전국에 거주하는 영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영화 소비 양태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한국 영화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발간되었다. 조사 내용은 극장 영화 관람 경험률과 관람 편수 등 일반 지표를 포함해 영화 취향, 영화 관람 행동 유형, 매체별 영화 관람 편의성, 영화 관람 비용 등이다. 2011년 12월 기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5∼59세의 남여를 대상으로 했으며 조사 규모는 2000명이다.
목차
제1장 조사 개요
Ⅰ. 조사의 목적
Ⅱ. 조사의 내용
Ⅲ. 조사의 설계
Ⅳ. 표본의 특성
제2장 조사 결과 요약
Ⅰ. 일반 소비자
1. 영화 관람 일반지표
2. 영화 취향
3. 영화 관람 행동 유형
4. 매체별 영화 관람 편의성
5. 영화 관람 비용
6. 불법 행동
7. 여가 생활
Ⅱ. 고관여 집단/Heavy User
1. 영화 관람 일반지표
2. 영화 취향
3. 영화 관람 행동 유형
4. 매체별 영화 관람 편의성
5. 영화 관람 비용
6. 불법 행동
7. 여가 생활
Ⅲ. 연령별
1. 영화 관람 일반지표
2. 영화 취향
3. 영화 관람 행동 유형
4. 불법 행동
5. 여가 생활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 일반 소비자
Ⅰ. 영화 관람 일반지표
1. 극장 영화 관람 경험
2. 극장 영화 관람 편수
3. TV 수상기 영화 관람 경험
4. 인터넷 및 모바일 영화 관람 경험
Ⅱ. 영화 취향
1. 주 관람 영화 장르
2. 선호하는 영화 국적
Ⅲ. 영화 관람 행동 유형
1. 관람 영화 선정 시 고려요인
2. 영화 선정 시 주 참조 정보원 및 획득 경로
3. 영화 관람 요일/시간
4. 영화 관람 동반자
5. 극장 관람 시 영화 선택 시점
6. 극장 영화 개봉일 기준 관람 시점
7. 극장 선택 기준
8. 극장 입장권 구입 방법
9. 극장 내 매점 이용 경험
10. 디지털 3D 입체영화 이용 실태
11. 다양성영화 이용 실태
12. 영화 관련 상품 구매 경험
Ⅳ. 매체별 영화 관람 편의성
1. 매체 선택 시 중요 요소
2. 극장 개봉일 기준 관람 시점
Ⅴ. 영화 관람 비용
1. 매체별 관람 비용 평가
2. 매체별 비용 결제 방식
3. 매체별 재관람 실태
4. 향후 매체별 이용 의향
Ⅵ. 불법 행동
1. 합/불법 콘텐츠 식별
2. 행위별 적법성 여부
3. 불법 이용의 심각성
4. 불법 행동 경험
5. 저작권 단속/처벌 강화 시 선호 방안
Ⅶ. 여가 생활
1. 여가 시간 및 소비액
2. 인도어(Indoor) 여가 생활
3. 아웃도어(Outdoor) 여가 생활
제4장 조사 결과 분석 : 고관여 집단/Heavy User
Ⅰ. 영화 관람 일반지표
1. 극장 영화 관람 경험
2. 극장 영화 관람 편수
3. TV 수상기 영화 관람 경험
4. 인터넷 및 모바일 영화 관람 경험
Ⅱ. 영화 취향
1. 주 관람 영화 장르
2. 선호하는 영화 국적
Ⅲ. 영화 관람 행동 유형
1. 영화 선정 시 고려요인
2. 영화 선정 시 주 참조 정보원 및 획득 경로
3. 영화 관람 요일/시간
4. 영화 관람 동반자
5. 극장 관람 시 영화 선택 시점
6. 극장 영화 개봉일 기준 관람 시점
7. 극장 선택 기준
8. 극장 입장권 구입 방법
10. 디지털 3D 입체영화 이용 실태
11. 다양성영화 이용 실태
12. 영화 관련 상품 구매 경험
Ⅳ. 매체별 영화 관람 편의성
1. 매체 선택 시 중요 요소
2. 극장 개봉일 기준 관람 시점
Ⅴ. 영화 관람 비용
1. 매체별 관람 비용 평가
2. 매체별 비용 결제 방식
3. 매체별 재관람 실태
4. 향후 매체별 이용 의향
Ⅵ. 불법 행동
1. 합/불법 콘텐츠 식별
2. 행위별 적법성 여부
3. 불법 이용의 심각성
4. 불법 행동 경험
5. 저작권 단속/처벌 강화 시 선호 방안
Ⅶ. 여가 생활
1. 여가 시간 및 소비액
2. 인도어(Indoor) 여가 생활
3. 아웃도어(Outdoor) 여가 생활
제5장 조사 결과 분석 : 연령별
Ⅰ. 영화 관람 일반지표
1. 극장 영화 관람 경험률 및 관람 편수
2. TV 수상기 영화 관람
3. 인터넷 및 모바일 영화 관람
Ⅱ. 영화 취향
1. 주 관람 영화
2. 선호하는 영화 국적
Ⅲ. 영화 관람 행동 유형
1. 영화 선정 시 고려요인
2. 영화 선정 시 주 참조 정보원 및 획득 경로
3. 영화 관람 동반자
4. 극장 관람 시 영화 선택 시점
5. 극장 영화 개봉일 기준 관람 시점
6. 극장 선택 기준
7. 극장 입장권 구입 방법
8. 디지털 3D 입체영화 이용 실태
9. 다양성영화 이용 실태
10. 매체 선택 시 중요 요소
11. 향후 매체별 이용 의향
12. 영화 관련 상품 구매 경험
Ⅳ. 불법 행동
1. 합/불법 콘텐츠 식별
2. 불법 이용의 심각성
3. 불법 행동 경험
4. 저작권 단속/처벌 강화 시 선호 방안
Ⅴ. 여가 생활
1. 여가 시간 및 소비액
2. 인도어(Indoor) 여가 생활
3. 아웃도어(Outdoor) 여가 생활
부록 :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