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장기간 환율 하락으로 지속적인 손실을 경험한 수출 기업들은 본격적으로 환 위험을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환 위험을 관리하는 방법도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진화한다. 이 책은 수출입 기업의 환 위험 관리 해법이 담긴 책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환율과 외환시장에 대하여 살펴본다. 2부에서는 환 위험 관리 방법론과 수출입 기업의 환 위험 관리 실태에 관하여 정리한다. 3부에서는 환 위험 관리 수단으로 활용되는 선물환, 통화선물, 통화옵션 등 통화 파생상품에 대하여 살펴본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이 책을 출간하며
머리말
part 1 환율과 외환시장
1 적정 환율이란?
환율이란?
빅맥 햄버거의 가격으로 적정 환율을 측정한다고?
실질 실효 환율이란?
원화 가치 저평가, 내수 경기 불황으로 이어져
2 한국 외환시장, 어떤 과정을 걸어왔나?
경제 개발 초기에는 고정환율제도 채택
‘닉슨 쇼크’로 환율 상승 압력이 더욱 높아져
제2차 오일 쇼크를 계기로 환율 평가 절하 단행
시장평균환율제도 도입
외환 위기 속에 완전변동환율제도로 이행
2003년 이후의 글로벌 달러 약세 흐름
2008년 외국인 주식 순매도의 원인: 안전 자산 선호 현상 출현
3 엔 캐리 트레이드와 달러 / 엔 환율의 관계는?
엔 캐리 트레이드란?
4 유럽 재정 위기의 원인, 유로화에 있다
유로화, 유럽통화동맹이란?
EMU, 문제는 없나?
유럽 재정 위기 해결책은?
언제쯤 해결되나?
5 중국 위안화, 언제 기축 통화되나?
기축 통화란?
중국이 달러의 기축 통화 지위에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는?
중국 위안화가 기축 통화가 될 가능성은?
중국, ‘중진국 함정’극복할 수 있을까?
마지막 남은 성장의 원천, 민간 소비: 일본의 1980년대 경험에 주목하라
중국 위안화의 기축 통화 가능성은 높지 않아
part 2 환 위험 관리 방법과 중소기업 실태
1 환 위험 관리 방법론
환 위험이란?
환 위험을 관리한다는 것은?
환 위험 관리 기법
환 위험의 측정
적정 헤지 비율의 결정
실제 헤지 비율의 관리
헤지 수단의 결정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
환 위험 관리 규정
환 위험 관리 조직
환 위험 관리 시스템
2 환 위험 관리 실태와 사례
일상적인 재무 관리 활동으로서 환 위험 관리
환 위험 관리를 시작하게 된 계기
환 위험에 대한 경영진의 높은 관심
내부 관리 기법 활용
매칭 활용 사례
환 위험의 측정과 한도 설정
내부 선물환 제도를 활용한 환 위험 집중 관리 사례
환 위험 헤지 상품
헤지 거래에 대한 의사 결정
헤지 비율의 관리
환 위험 관리 활동의 평가
환 위험 관리 체계
환 위험 관리 규정 운영
위험 관리 조직 운영
위험 관리 시스템
part 3 환 위험 관리 상품
1 선물환이란?
현물환과 선물환
기업의 선물환 거래 활용
선물환 거래의 실행
선물환율 고시
균형 선물환율과 시장 선물환율
선물환 거래의 만기 결제와 손익 구조
선물환 거래의 조기 결제
선물환 거래의 만기 연장
선물환 거래의 가치 평가
선물환 거래의 가치 변동 요인
선물환 거래의 회계 처리
헤지 수단으로서 선물환 거래
2 통화선물
장내 파생상품
표준화된 거래 조건
증거금 제도와 일일 정산 제도
기타 통화선물 거래의 특성
기업의 헤지 수단으로서 통화선물
3 환변동보험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제공하는 선물환 거래
환변동보험의 거래 조건 특성
4 통화옵션
외국 통화를 매매할 수 있는 권리
콜 옵션 거래 구조
풋 옵션 거래 구조
콜 옵션의 활용
풋 옵션의 활용
통화옵션 매입 거래의 실행
통화옵션의 가격 결정
옵션의 가치 변동 요인
옵션 민감도
통화옵션 거래의 회계 처리
5 이색 옵션 상품
플레인 바닐라 옵션과 이색 옵션
배리어 옵션
아시안 옵션
디지털 옵션
6 옵션 조합 상품
옵션 거래를 이용한 선물환 거래 복제
레인지 포워드 거래
인핸드스 포워드 거래
타겟 포워드 거래
KIKO형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