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프롤로그
1. 중국, 이 특이한 나라
걸출한 중국의 시대
유교
국제 관계의 개념: 공명정대 혹은 평등?
중국의 레알폴리틱과 『손자병법』
2. '머리를 조아릴' 것인가 - 아편 전쟁
매카트니 사절단
충돌하는 두 개의 세계 질서: 아편 전쟁
기영의 외교: 야만족 달래기
3. 걸출한 중국에서 쇠퇴한 중국으로
위원의 청사진: 오랑캐들의 전법을 배워 "오랑캐로써 오랑캐를 제압하라"
줄어드는 권위: 국내의 격변과 외세의 침략이라는 난제
쇠락의 길도 관리해야
일본의 도전
조선
의화단 사건과 새로운 전국 시대
4. 계속되는 마오쩌둥의 혁명
마오쩌둥과 '대동'
마오쩌둥과 국제 관계: 공성계와 중국의 억제, 그리고 심리적 우위의 추구
계속되는 혁명과 중국인
5. 삼각 외교와 한국 전쟁
애치슨과 중국식 티토이즘의 유혹
김일성과 전쟁 발발
미국의 개입: 공격에 대한 저항
중국의 반응: 억제를 향한 또 다른 접근
중국과 미국의 대치
6. 미국과도 대치, 소련과도 대치
첫 번째 타이완 해협 위기
대미 외교의 간주곡
마오쩌둥과 흐루쇼프, 그리고 갈라선 중ㆍ소
두 번째 타이완 해협 위기
7. 위기의 10년
대약진 운동
히말라야 국경 분쟁과 1962년 중국ㆍ인도 전쟁
문화 혁명
놓쳐 버린 기회가 있었던가?
8. 화해의 길
중국의 전략
미국의 전략
첫 단계: 우수리 강에서의 충돌
9. 다시 열린 관계 - 미오쩌둥, 저우언라이와의 첫 만남
저우언라이
중국에 간 닉슨: 마오쩌둥을 만나다
닉슨과 저우언라이의 대화
상하이 코뮈니케
후유증
10. 준동맹 - 마오쩌둥과의 대화
수평 방어선: 견제에 대한 중국의 접근 방식
워터게이트 사건의 충격
11. 마오쩌둥 시대의 종말
계승 위기
저우언라이의 몰락
마오와의 마지막 회견: 제비와 폭풍 전야
12. 난공불락 덩샤오핑
덩샤오핑의 첫 번째 복권
지도자들의 죽음: 화궈펑
덩샤오핑의 부상: 개혁과 개방
13. "호랑이의 엉덩이를 만지다" - 제3차 베트남전
베트남: 열강의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나라
덩샤오핑의 외교 정책: 미국과의 대화 및 정상화
덩샤오핑의 여정
덩샤오핑의 미국 방문과 맹방의 새로운 정의
3차 베트남전
14. 레이건, 그리고 도래한 정상 관계
대타이완 무기 수출과 세 번째 코뮈니케
중국과 초강대국들: 새로운 평형
덩샤오핑의 개혁 프로그램
15. 텐안먼
미국의 딜레마
팡리즈를 둘러싼 논란
12자와 24자로 이루어진 지도서
16. 덩샤오핑의 마지막 업무, 남순강화(南巡講話)
17. 또 다른 화해를 향한 롤러코스터 타기 - 장쩌민의 시대
중국과 해체 중인 소련
클린턴 행정부와 대중국 정책
세 번째 타이완 해협 위기
중국의 부상과 장쩌민의 생각들
18. 뉴 밀레니엄
관점의 차이
전략적 기회, 어떻게 정의하나
국가의 숙명에 관한 논쟁: 승리주의자들의 견해
다이빙궈: 평화로운 부상의 재확인
에필로그: 역사는 반복되는가? - 크로 메모랜덤
환태평양 공동체를 향하여?
주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