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어학자의 눈에 비친) 한국어의 힘 = (The) secret power of Korean language
발행연도 - 2011 / 김미경 지음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71360
-
ISBN
9788956266213
-
형태
25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언어
>
한국어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기호/논리/언어학
>
국어학
책소개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한글>을 펴내 주목을 받았던 김미경 교수가 이번에는 언어로서의 ‘한국어’를 중심에 두고 한국어의 시대별 역할과 고유한 힘에 주목하여 한국인의 언어생활을 총체적으로 진단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글을 시작하며
제1장 한국어의 정체성
1. 역사 이래 단일언어 사회였다는 오해
2. 공식어로서의 한국어의 중요성
3. 두 가지 종류의 이중언어
4. 민중의 모어로서 한국어
제2장 한국어의 생명력
1. 첫 번째 제국언어, 중국어
2. 한국어 수호자, 세종대왕과 고종
3. 민주 언어의 기반을 다진 『서유견문』과 『독립신문』
4. 한국어를 사멸 위기로 몰았던 일본어 제국주의
5. 세 번째 제국 언어 영어의 공격
제3장 한국어의 힘
1. 단일언어 사회의 힘
2. 모국어 교육의 힘
3. 싱가포르의 이중언어 정책과 모국어의 정체성
4. 미국의 언어 분쟁과 모어로 교육 받을 언어 권리
5. 한국인의 모국어 능력
제4장 언어 제국주의와 영어 헤게모니
1. 필립슨의 영어 제국주의
2. 눈에 보이지 않는 영어 헤게모니
3. 자발적 동의에 의한 영어 선택이라는 미신
4. 영어 헤게모니를 강화하는 엘리트들의 미국편중화
5. 한국어로 교육받을 국민의 언어 권리
제5장 언어 제국주의를 지탱하는 두 가지 이데올로기
1. 언어 제국주의를 정당화하는 언어 진화론
2. 식민지인의 패배주의, 모어 페시미즘
3. 민족 페시미즘의 파괴력
4. 일본을 모방한 한국의 영어공용화론
제6장 한국어와 함께 하는 세계화
1. 한국인의 영어 실력
2. 일본의 16개 노벨상의 교훈
3. 영어 실력을 뛰어넘는 글로벌 마인드
4. 모국어로 공유하는 세계 정보, 글로벌 보이스
5. 굿바이 영어공용화 논쟁
6. 한국인의 영어 해법, 플레인 잉글리시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같이 빌린 책
1초에 가슴을 울려라
2011 / 최병광 지음 / 헤리티지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