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각학술총서 시리즈 1권. 일제가 남긴 자료를 통해 한국병합의 불법성을 파헤친다. 규장각이 소장한 대한제국기 관찬 문서 및 일제의 관찬 문서 그리고 병합늑약 체결 관련자들이 남긴 증언 내지 회고록 등을 바탕으로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받지 못한 일제의 병합 방침 결정 과정 그리고 병합늑약의 불법성 논쟁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병합늑약의 무효불법론을 강화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서론 : ‘한국병합’에 대한 쟁점과 자료 소개
제1부_일제의 병합방침과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계략 일제의 ‘한국병합’ 방침 결정 과정과 병합 방안의 불법성 머리말 1. 일본의 「對韓政策方針」 결정과 추진배경 2. 병합준비위원회와 「韓國倂合時 處理法案大要」 3. 병합 방침에 관한 주요 쟁점 맺음말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한국병합’ 사전준비와 계략 머리말 1. 데라우치의 통감 임명과 병합 실행을 위한 사전 준비 2. 이인직의 渡日과 데라우치의 ‘꼭두각시 놀이’ 맺음말 ‘趙南升御璽僞造事件’의 전말과 고종의 망명계획 머리말 1. ‘조남승어새위조사건’의 전말 2. 조약 원본 등 압수 문서의 행방 3. 압수 문서와 고종의 망명계획 맺음말 부록1: 압수 문서(조약류)의 목록 비교 부록2: 甲號의 1·2 목록
제2부_조작과 ‘날조’된 병합늑약 조작된 「朝鮮總督報告 韓國倂合始末」 머리말 1. ‘합의적 조약’과 ‘강요’의 모순 2. 조약 체결 절차의 결함과 「한국병합시말」의 조작 3. ‘潛捺’된 전권위원 위임장의 國璽 맺음말 ‘한국병합’ 관련 4개문서의 필적 비교와 筆寫者 머리말 1. 병합 관련 4개문서의 작성 경위와 동일한 筆跡 2. 병합 관련 4개문서의 필사자,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 맺음말 1910년 병합 「칙유」의 文書上의 결함과 불법성 머리말 1. 문서의 형식을 결한 병합 「칙유」 2. ‘조칙’이 ‘칙유’로 변한 이유 3. 비준서를 대신한 병합 「칙유」 맺음말
결론 : 필자 후기
부록: 병합늑약 체결 일지 부록: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근대 조선의 여행자들 = 近代朝鮮 旅行者2018 / 지음: 우미영 / 역사비평사
적도에 묻히다 : 역사 르포르타주, 독립영웅 혹은 전범이 된 조선인들 이야기2012 / 우쓰미 아이코 ; 무라이 요시노리 지음 ; 김종익 옮김 / 역사비평사
적도에 묻히다 : 역사 르포르타주, 독립영웅 혹은 전범이 된 조선인들 이야기2012 / 우쓰미 아이코 ; 무라이 요시노리 지음 ; 김종익 옮김 / 역사비평사
조선인 BC급 전범, 해방되지 못한 영혼2007 / 우쓰미 아이코 지음 ; 이호경 옮김 / 동아시아
만주 항일 속으로 : 유순호의 정치, 역사, 문화2015 / 저자: 유순호 / 행복한마음
(10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한국 근현대사 : [청소년] : 개화기부터 세월호 참사까지,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근현대사 2024 / 지음: 유정호 / 팬텀북스
韓國民族運動과 宗敎活動2002 / 유준기 저 / 국학자료원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강제 병합 공작과 '한국병합'의 불법성 = (The) compulsory annexation operations of Resident-General Terauchi Masadake and the illegality of 'Korea-Japan Annexation'2011 / 윤대원 지음 / 소명출판
3·1 운동사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선언2016 / 지은이: 윤병석 / 국학자료원
近代 韓國民族運動의 思潮1996 / 尹炳奭 著 / 집문당
간도역사의 연구2003 / 윤병석 저 / 국학자료원
한국 근대사와 종교2002 / 윤선자 저 / 국학자료원
봉인된 역사 : 대장촌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 농민2017 / 지음: 윤춘호 / 푸른길
봉인된 역사 : 대장촌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 농민2017 / 지음: 윤춘호 / 푸른길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2007 / 윤해동 지음 / 휴머니스트
같은 주제의 책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2016 / 이이화 지음 / 한길사